쌍용건설 학회지 : 홈페이지 링크 21~24는 전체 다운로드 20부터 전체 다운로드 미지원
2024
건설산업 7대 이슈와 건설기업 대응과제
세계적인 저성장경제 하에서 높아진 노무비와 자재비의 고착화로 건설생산비용은 지속 증가하며 건설기업 경영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23년 1월 문재인정부 시절 강화된 부동산 규제를 완화하는 조치를 하였고 기대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9월 공급대책을 발표하였다. 광주아파트붕괴, 인천 검단신도시 붕괴사고들로 품질관리 강화관련 입법이 지속되었고 ‘LH 혁신방안’ 발표되었으며 앞으로도 품질, 안전관련 정책강화 움직임이 예상된다. 23년도 건설기업의 경영여건은 급속히 악화되며 폐업신고 건수가 늘고 있다. 시공능력평가 10위권 건설사 중 8개사의 23년 1~9월 매출원가율은 92.07%이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의 부실 여파가 지속되며 건설기업들의 싱용도 악화로 재무적 안정성이 크게 위협을 받는다. 해외건설시장의 수주여건이 개선되고 신규 진출사업 및 비주택사업부문의 실적이 다소 개선되면서 대형건설기업들의 경우 버티고 있으나 상업용 부동산, 주택등의 비중이 높은 중견, 중소건설기업들은 경영위기에 놓인다.
2023

콘크리트 보의 깊이에 따른 건조수축의 변화
- 보의 깊이에 따른 건조수축 변형률은 상면에서 가장 크고 하면에서 가장 작다
- 변형률 변화의 발생원인은 보의 단면 깊이에 따라 균일하지 않은 골재 농도 분포로 확인하였다.
- 콘크리트 보의 단면을 따라 골재 농도가 균일하지 않은 이유는 콘크리트 타설 시 블리딩 현상 및 다짐작업 등의 영향으로 판단되고 골재농도는 보 단면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보의 깊이에 따른 건조수축 변형률을 골재 농도의 변화를 고려할 수 있는 Hobbs의 방적식으로 예측하였다. 예측된 건조수축 변형률과 측정된 건조수축 변형률은 유사한 결과를 얻었으며 이를 통해 골재 농도 분포가 건조수축 변형률의 변화에 많은 영향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 골재 농도가 클수록 건조수축 영향 억제
PC공법 적용사례
2022
이전
2013 구조물의 균열원인과 사례
- 머리말
균열은 종종 구조물에 안정성에 영향을 끼치며 기술자들은 최대한 균열발생을 감소시켜 품질을 높여야 한다. 균열발생 분류 및 형태에 대하여 정리하고 균열사례를 소개한다.
- 균열의 분류 및 형태
표준시방서에서 발생하는 균열폭이 외부 환경조건에 따른 허용균열폭을 넘지 않게 규정하고 있다.
2-1. 구조적 균열과 비구조적 균열

2-2. 발생 시기 및 요인에 의한 분류
-첨부파일-🗑️/Pasted-image-20241009104825.png)
재료요인에 의한 균열
건조수축으로 인한 균열 알칼리 골재반응에 따른 균열 수화열로 인한 균열
시공요인에 의한 균열
콘크리트 배합 및 시공 철근배근 거푸집 초기동해
구조요인에 의한 균열
하중증가로 인한 균열 부재손상에 의한 균열 부등침하로 인한 균열 구조체의 내력부족으로 인한 균열 설계하중 적용 잘못으로 인한 균열 구조계획 잘못으로 인한 균열 개구부 모서리의 균열
환경요인에 의한 균열
중성화로 인한 균열 염분의 부칙 및 침입으로 인한 균열 외기온도 변동에 의한 균열 동결융해의 반복으로 인한 균열
- 균열발생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