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 카페
- 면접 PDF
- 구조설계 노션 →별거없네
- 건설기준 QnA → 정리할 내용은 없는거 같아, 읽어보기
- 구조기술사 QnA
- 학회지 읽기
- 하이구조 QnA
- 티스토리
- 건축구조기준 해설읽기
- 하이구조 유튜브 정리 + 동시진행
- Anki 추가하면서 정리
- 기둥보 단부에 스터럽을 촘촘히 감는 이유
기본
- 자기소개
- 앞으로의 계획
- 기술사 소양 및 윤리의식
- 실무하면서 사용한 구조재료
- 구조설계시 적용하는 기준
- 기술사법
- 구조기술사의 업무범위
- 구조도면과 구조계산서가 다를 경우 우선순위
- 비구조요소 내진설계 경험
- 건축도면 작성관련 개정안
- 비구조요소 내진설계안내서_bmtas 노션: 건물별 중량 노션: 데크하중 기초RC부와 철골 접합상세(지하수관련) 철골설계메뉴얼 잭서포트의 안전율
일반 및 기타
해체 및 철거
안전점검 및 진단
기타공사
붕괴
설계개념 및 하중
설계개념
연직하중
기타하중
풍하중
기타설계시스템
- 화재 발생 시 부재 평가요령
- 장경간 트러스
-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조적식구조해석의 차이점
- 지내력기초와 파일기초를 구분하여 적용하는 방법
- 내진보강 시 제진장치의 사용
- 벨트트러스의 역할
- 돔구장의 지붕형식
- 탑다운 공법 순서
- 아웃리거의 설계
- 비렌딜트러스 정의와 장단점
- 플랫플레이트 구조형식
- 지하터파기 공사 프로세스 및 문제점
내진설계
내진일반
내진설계범주, 비정형성
지진력저항시스템
- 중앙벽체코어가 있고 외부에 기둥이 있는 20층 사무실 건물에서 가능한 구조시스템
- 내력벽시스템과 전단벽골조 상호 시스템
- 특수모멘트전단벽 설계시 유의사항
- 편심가새골조에 대해
- 병렬전단벽에 대해
- 특수전단벽에 대해
지진하중, 설계요구사항
내진성능평가
- 학교내진성능평가 방법
- 내진성능평가의 문제점
- 내진성능평가 주체, 대상 및 절차
- 내진성능평가에서 선형 및 비선형 해석시 실무 고려사항
- 내진성능평가 절차에 대한 설명
- 성능설계에 대하여
- 내진성능기반설계 시 목표성능 만족방법
- 내진보강 전략 및 공법
- 비선형 정적해석
- 비선형 동적해석
- 성능검증을 위한 허용기준에 대한 설명
- 기초에 인발 발생시 조치사항
지하구조물 내진설계
비구조요소
전이구조
평면 설계
RC
재료,시험, 안전진단
사용성, 내구성, 내화성
철근상세
- 직경이 다른 철근의 정착 시 정착길이
- 겹침배근 시 구조도면 기재사항
- 커플러 이음 시 이음방법 및 자료강도
- 철근의 파괴양상
- 철근의 종류
- 철근 shop 드로잉
- 커플러 사용시 나사산에 대한 의견
- 정착길이 미확보시 조치사항
보
기둥
전단,브래킷,비틀림
기초 및 지반
슬래브 및 벽체
- 아파트 거실슬래브 균열발생원인 및 철근배근도
- 아파트 날개벽 설계시 고려사항
- 길이가 10m 이상인 지하외벽 설계
- 벽체 철근비 1%이상일 때 기준상 조치사항
- 플랫슬래브 및 설계
- 옹벽의 shear key 설계
- 슬래브 및 기초의 전단보강철근 상세
- 모델링시 벽체 균열강성 고려관련
RC 내진설계기준
앵커
보강
진동
전이부재
STL
계획
부재
- 12m × 8m 경간의 철골조 물류창고 구조계획 8kN
- 일반업무시설의 경우 철골조 보 및 기둥계획
- 철골 덕트 계획
- 블록전단파단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 베이스 플레이트 상세
- 크레인 관련
- 윙플레이트에 대해
- 장경간 공설 설계
- 트러스 구조의 접합상세
- SD와 SS의 차이
- 지압접합과 마찰접합 비교
- 횡좌굴 원인과 보강에 대해
- 단순보 접합의 회전능력
- 철골 연성모멘트 골조
- 철골 용어
- 고급강의 항복강도 상한치를 규정하는 이유
- 강구조 설계 시 변위기준
역학
- 경간연속보의 처짐형상
- 평면응력에 대한 모아원 작성
- 일방향 슬래브 설계 시 주요점
- 라멘조의 BMD 작성
- 달랑베르 정리
- 운동방정식 설명
- 전단력과 모멘트의 관계 유도
- 고유치해석을 하는 이유
- 트러스 구조에 대해
- 층별로 모멘트 양상이 다른이유
- 모드해석에서 1차모드와 모드형상의 개념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