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정답: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균열

콘크리트의 건조수축(Drying Shrinkage)
  1. 정의 수화된 시멘트에 흡착되었던 수분이 증발하여 콘크리트에 생기는 체적변형

  2. 발생원인 시공 시 워커빌리티에 기여한 잉여수가 건조하면서 콘크리트가 수축하여 균열이 발생한다.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의한 체적변화는 보통 다른 구조체에 의해 구속되어 있어 이로 인해 인장력이 발생하게 되어 균열이 발생한다.

  3. 영향요인

    • 상대습도 : 콘크리트와 주위 상대습도의 차이에 의해 발생
    • 골재의 함량과 성질 : 시멘트페이스트는 높은 수축 잠재성을 가지고 있으나, 골재의 높은 탄성계수로 시멘트 페이스트의 수축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 물시멘트비 : 물·시멘트비와 콘크리트 수축률은 거의 선형비례, 물시멘트비가 낮을수록 실적률이 클수록 건조수축은 작아진다.
      • 23% : 화학적 결합수
      • 40% : 비비기 가능 (슬럼프 치 거의 0)
      • 60% : 시공가능
      • 시공성을 위해서 사용된 여유치의 물 20%가 시공중 떠오르는 현상(블리딩), 시공중수축(소성수축), 시공후(경화후) 증발하는 현상(건조수축)
    • 분말도, 시멘트성분, 공기량의 영향은 미소
    • 습윤양생을 하면 건조수축이 발생하는 시점을 늦출 수 있지만 건조수축의 크기에 미치는 습윤양생의 영향은 매우 적다.
  4. 방지대책

    • 단위수량 감소
    • 굵은 골재 및 둥근 입자 사용
    • 혼화제 사용
    • 줄눈 설치(균열 유발 줄눈)
    • 분할 타설(1일 타설량 조절, 타설 순서검토)


END

콘크리트 균열의 종류 콘크리트의 크리프 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