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상재하중과 토압계수

  1. 상재하중으로는 어떤 하중이 있는지?
  2. 상재하중 적용시 토압계수 적용여부?

정답:

  1. 상재하중은 기초 혹은 지하외벽의 상단의 공간활용에 따라 달라지며 사람만 있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5를 적용하고 도로에 접하는 경우 20 정도를 적용하여 설계한다. 20을 적용하는 이유는 중량차량활하중을 계산하면 26정도 나오는데 이를 감소시킨 것. 장비하중 및 차량하중
  2. 상재하중 적용시 토압계수 적용한다. 하중계수는 활하중이므로 1.6을 적용하고 토압계수는 옹벽의 경우 수동토압계수 1/3을 적용하고 지하외벽인 경우 정지토압계수인 0.5를 적용한다.

상재하중으로는 어떤 하중이 있는지, 상재하중 적용시 토압계수 적용여부_117회(1)★ ※ 기초 저면으로부터 상부의 흙의 중량. 또는 지반이나 바닥 위에 적재되는 하중. 흙막이벽의 측압 산정 시 지표면 위의 예상 하중. ex)장비 및 차량하중 등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