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설계응답스펙트럼
지반증폭계수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설계응답스펙트럼에 대해 설명하시오
정답:
설계응답스펙트럼
특정 지진에 대한 구조물의 최대거동을 구하기 위한 것
[!설계응답스펙트럼]
- 단자유도 구조물에 지진하중을 가하여 각각의 고유주기에 대한 응답을 구한다.
- 각각 주기에 따른 최대응답을 열결한 것이 응답스펙트럼
- 변위응답스펙트럼에서 변위를 최대값이 동일한 sin 함수로 치환하여 유사속도, 유사가속도를 구하여 유사속도응답스펙트럼, 유사가속도응답스펙트럼 산정
- 유사속도응답스펙트럼, 유사가속도응답스펙트럼를 통계적인 방법으로 처리하여 구조물에 주기변화에 민감하지 않은 설계응답스펙트럼을 산정
-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 : **감쇠비 5%**를 적용한 설계응답스펙트럼
- 그 이외의 감쇠에 대해서는 감쇠보정계수 사용
-첨부파일-🗑️/스크린샷-2024-01-10-오전-11.01.21.png)
설계스펙트럼가속도(, )
-
설계스펙트럼가속도 산정 단주기 설계스펙트럼 가속도 1초주기 설계스펙트럼 가속도
- 은 인명안전수준의 유효지반가속도를 나타내며, Sds에서 2.5는 가속도 일정구간에서 구조물의 응답증폭을 나타낸다. Fa는 가속도 일정구간의 구조물 응답증폭을 나타내며 Fv는 속도일정구간의 구조물 응답증폭을 나타낸다.
-
기반암의 깊이가 20m를 초과하고 지반의 평균 전단파속도가 360m/s 이상인 경우, **Fv 값의 80%**를 적용한다.
-
지반분류가 S5이고 기반암의 깊이가 불분명한 경우, **Fa와 Fv의 110%**를 사용한다.
지반증폭계수(, )

- 지반증폭계수는 지반의 동적특성(주기), 지반의 강도 및 지반운동의 비선형성(지반가속도)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지반의 종류와 지반가속도)
- 지반의 동적주기가 증가할수록(지반의 강도가 작고, 지반의 깊이가 증가할수록,1~5로 갈수록) Fv가 증가하며, 반면 Fa은 일정값 이상으로 증가하지 않는다.
- 유효지반가속도가 증가할 경우 지반운동의 비선형성이 증가하면서 지반증폭계수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 지하층 및 지상층 건물의 설계에는 단일값의 대표지반증폭계수를 사용해야 하며, 이때 대표지반증폭계수는 각 지반조사 위치에서 결정된 값의 평균값으로 정하거나, 설계상에 가장 불리한 값으로 정한다. 하나의 지하증 구조로 연결된 복수의 지상층 건물의 설계에도 단일값의 대표지반증폭계수를 사용한다.
- 건물이 급격한 경사지에 건설되는 경우 대표지반증폭계수는 각 지반조사위치에서 결정된 값 중에서 설계상에 가장 불리한 값으로 정한다.
- Fa와 Fv값을 부지고유의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부지고유응답해석으로 산정한 설계스펙트럼가속도 Sds와 Sd1는 지진구역계수와 위헙도계수를 곱한 값에 해당지반의 증폭계수를 적용한 값의 80% 이상이어야 한다.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