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풍동실험의 종류, 실험결과를 적용하는 방법

정답:

Q2. 특별풍하중을 적용할 경우에, 풍동실험을 실시하게 되는데, 기준 상에서 제시된 풍동실험이 필요한 경우의 5가지 사항에 대해서 말씀해보세요.

A2. 네 질문에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특별풍하중을 적용하기 위해 풍동실험을 실시하는 5가지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번째로는 풍진동효과를 고려해야 할 경우입니다. 평면상으로 사각형 모양을 이룰 때 형상비가 3 이상일 경우 그리고 원형 단면일 때 형상비가 7 이상일 경우에 풍진동효과를 고려하기 위해 풍동실험을 실시해야 합니다. 두번째로는 공력불안정진동을 고려해야할 경우입니다. 주로 공기막구조나 현수구조같이 면외방향의 강성이 없는, 얇은 막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바람이 불면 떨리는. 즉, 공력불안정진동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경우 풍동실험을 실시하여야 합니다. 세번째로는 골바람효과가 예상되는 지역의 구조물 입니다. 구조물이 골짜기 등에 위치할 경우, 국부적으로 풍속이 증가하는 효과를 풍동실험을 통해 규명해야 합니다. 네번째로는 인접건물효과가 예상되는 지역의 구조물입니다. 신축 시, 인접 구조물에 의해 와류효과가 예상되는 부분에 풍동실험을 실시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는 비정형성이 심하여 기준상의 풍하중 산출방식이 애매한 구조물입니다. 추가적으로 풍하중이 곧 개정될 예정입니다. 해당사항은 기술사회지에서 보았는데, 현행기준은 기술자들마다 풍동실험을 적용하는 기준에 대해 해석하는 관점이 달랐다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이번 기준 개정을 통해 이 판단방식이 조금 더 구체화되었고, 보정계수를 도입하여 풍동실험조건을 다소 완화하는 규정이 신설되었습니다.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