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튜브 시스템
- 개요 , 장점
- 골조튜브 시스템
- 브레이스 튜브 시스템
- 이중 튜브 시스템
- 묶음 튜브 시스템
정답:
개요
건물의 모든 외측기둥이 횡하중에 저항하도록 시스템의 휨강성을 극대화한 구조시스템-첨부파일-🗑️/Pasted-image-20230721233647.png)
튜브 시스템의 구조적인 장점
- 외측기둥이 수평하중에 모두 저항하기 때문에 구조적인 효율성이 높다.
- 내부구조체의 배열이 자유롭다.
- 바닥구조를 모든 층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 시공성이 뛰어나다.
튜브시스템의 종류
골조튜브 시스템(Framed Tube system)
- 튜브 시스템 중 가장 먼저 사용된 구조시스템
- 기둥을 1.2~3.0m 정도로 촘촘히 배치
- 기둥과 기둥 사이를 춤이 900~1500mm 정도의 보를 모멘트 접합방식으로 연결하는 시스템
- 수평하중의 작용방향과 평행한 기둥이 웨브의 역할
- 수직방향 기둥의 플랜지 역학
- 보통 벽면적의 30% 이하의 개구부를 가지고 있을 경우 캔틸레버 거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일반적으로 개구부의 면적이 30~50% 정도가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시스템의 거동은 캔틸레버와 골조거동의 중간 정도의 거동
- Shear lag 현상이 발생
- 골조튜브 시스템은 철골구조의 경우 60~80층 정도가 경제적
- 경제적인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주의사항
- 바닥 슬래브는 다이어프램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와 강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외측기둥과 테두리보의 강성에 유의해야 한다.
- 고정하중에 의한 기둥의 부등축소현상을 미리 예측하여 시공 중 이를 보정해야 한다.
- 전단지연(Shear lag) 현상에 유의하여야 한다
브레이스 튜브 시스템(Braced tube, 가새 튜브)
- 웨브골조의 간격을 넓게 해야 할 경우, 구조물은 캔틸레버와 같은 거동을 하지 않게 되고, 이러한 경우 구조물의 캔틸레버 거동을 위해 외부골조에 브레이스를 넣어 구조물의 강성을 증가시킨 시스템
- 코너의 기둥은 캔틸레버 트러스의 상·하현재의 역할을 하므로 매우 큰 하중을 부담하게 된다.
- 브레이스는 기울어진 기둥역할을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인장력을 발생하지 않는다.
- 브레이스 튜브 시스템은 철골구조의 경우 100층 정도 되는 규모에 경제적인 시스템
이중 튜브 시스템
- 골조 튜브 시스템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브레이스 골조 시스템을 내부 코어에 배치하는 방법
- 외부 골조튜브의 전단변형을 감소시키고 외부 튜브와의 상호작용으로 회전에 대한 강성을 높인 시스템
- 강성골조 + 브레이스 시스템과 같은 방식으로 구조물이 거동하게 된다. 즉, 수평하중을 상층부에서는 외부 튜브가 지지하고, 하층부에서는 내부튜브가 지지함으로써 효율적인 수평하중 지지 시스템이 된다.
묶음 튜브 시스템 (Bundle tube)
- Shear lag 현상은 건물의 높이가 증가될수록 심각해진다. 이를 제어하기 위해 평면 중간 부분에 횡력과 평행한 방향으로 튜브 구조체를 넣어 횡력을 지지하도록 한 시스템
- 건물이 수평하중에 의해 힘을 받을 때 바닥 슬래브의 면내 강성으로 인해 내부 웨브 골조와 외부 웨브골조의 변형이 동일하게 발생되므로 각각의 강성에 의해 전단력이 분배된다. 따라서 필요한 웨브골조의 강성을 증가시켜 구조시스템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 내부튜브와 외부튜브가 각각 다른 높이에서 끝나게 되어 축하중의 차이에 따른 기둥의 부등축소현상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예측하여 시공중에 보정해야 한다.



관련문서
END
-첨부파일-🗑️/Pasted-image-2023072123435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