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말뚝기초의 내진상세 및 요구조건

정답:

요약

기성콘크리트말뚝 (CD)
  1. 주철근 최초철근비 1%
  2. 횡방향철근 9.5mm 이상, 표준갈고리 적용
  3. 이음부강도 [말뚝재료의 공칭강도, 특진 적용 하중]min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C(D)
  1. 종방향 주철근 4개 이상, 0.25%이상(0.5%)
  2. 배치길이 : [L/3, 3D, 3m, Mcr≥Mu까지 거리],[L/2, 3D, 3m,Mcr≥Mu까지 거리]
  3. 횡방향철근 10mm이상, 간격 3D구간 [8db, 150]min 나머지 16db초과X
  4. 인발에 대한 정착 다음중 최솟값이상(D)
  5. 말뚝의 종방향 주철근의 공칭인장강도
  6. 철골부재의 공칭인장강도
  7. 말뚝과 지반 사이의 마찰력의 1.3배
공통(D)
  1. 기초판의 구속에 따른 인발력 및 힘모멘트에 의해 발생되는 축력을 조합하여 설계
  2. 말뚝의 인장강도의 25%이상을 발휘할 수 있도록 기초판으로 정착
  3. 말뚝머리의 정착규정
  4. 12db
  5. D/2
  6. 305mm

KDS 41 19 4.5.3.13 말뚝기초의 내진상세

지진력을 받는 말뚝기초 설계시 요구조건 ←이거 근거 뭐지?
  1. 극한지지력 저항 : 지진시 상부구조에 발생하는 전도모멘트로 추가되는 말뚝 길이방향의 우력에 안전하도록 하중조합에 의한 설계지진하중을 반영하여 설계
  2. 인발력 저항 : 전도도멘트로 인해 상향우력이 말뚝에서 인발력으로 작용시 파일캡과 충분한 정착길이의 보강철근으로 연결하여 인발력 저항
  3. 휨모멘트 저항 : 상부기둥이 휨모멘트에 항복되기 이전에 말뚝파괴되지 않도록 설계
  4. 주변지반영향 : 액상화, 수평변위, 침하 등에 의해 말뚝이 파괴되지 않도록 설계
내진설계범주 C,D의 기성콘크리트말뚝의 띠철근 및 나선철근

표준갈고리 상세 적용

내진설계범주 C,D의 기성콘크리트말뚝의 이음부강도

말뚝의 이음부 강도는 다음 중 작은 값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1. 말뚝재료의 공칭강도
  2. 특별지진하중으로부터 발생된 축력, 전단력, 모멘트
내진설계범주 C,D의 기성콘크리트말뚝의 철근상세

주철근비는 전체 길이에 대해 1%이상 횡방향철근은 직경 9.5mm이상의 폐쇄띠철근이나 나선철근을 사용

현장타설말뚝의 종방향 주철근 배치

내진설계범주 C 현장타설말뚝의 종방향 주철근은 4개 이상 또한 0.25%이상, 말뚝머리로부터 다음에 규정하는 최댓값의 구간에 배근하여야 한다.

  1. 말뚝길이의 ⅓
  2. 말뚝 최소직경의 3배
  3. 3m
  4. 말뚝 상단으로부터 계산한 설계균열모멘트가 하중조합을 반영하여 산정한 소요휨강도를 초과하는 지점까지의 거리

내진설계범주 D 현장타설말뚝의 종방향 주철근은 4개 이상 또한 0.5%이상 말뚝머리로부터 다음에 규정하는 최댓값의 구간에 배근

  1. 말뚝길이의 ½
  2. 말뚝 최소직경의 3배
  3. 3m
  4. 말뚝 상단으로부터 계산한 설계균열모멘트가 하중조합을 반영하여 산정한 소요휨강도를 초과하는 지점까지의 거리

인발에 대한 정착은 다음 중 최솟값에 저항할 수 있어야한다.

  1. 말뚝의 종방향 주철근의 공칭인장강도
  2. 철골부재의 공칭인장강도
  3. 말뚝과 지반 사이의 마찰력의 1.3배 비틀림저항에 대한 정착은 특별지진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축력, 전단력, 휨모멘트를 저항하도록 설계하거나 말뚝의 축력, 휨 전단에 대한 공칭강도를 저항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장타설말뚝의 횡방향철근
  • 직경 10mm 이상의 폐쇄띠철근, 나선철근 사용
  • 간격 : 말뚝머리부터 말뚝직경의 3배 구간 [주철근직경 × 8, 150mm]min, 나머지 구간 [주철근 직경 × 16]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내진설계범주 D로 분류된 구조물의 말뚝
  • 기초판과의 구속에 따른 인발력 및 휨모멘트에 의해 발생되는 축력을 조합하여 설계
  • 말뚝의 인장강도의 25% 이상을 발휘할 수 있도록 기초판 속으로 정착
  • 말뚝머리의 정착은 다음 규정을 만족해야 한다.
    1. 종방향 주철근 직경의 12배
    2. 말뚝 최소직경의 ½
    3. 305mm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