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평면비정형
정답:
평면비정형성(H-1~H-5)
비틀림 비정형(H-1)
격막이 유연하지 않을 때 고려함. 어떤 축에 직교하는 구조물의 한 단부에서 우발편심을 고려한 최대 층변위가 그 구조물 양단부 층변위 평균값의 1.2배보다 클 때 비틀림 비정형인 것으로 간주한다.
-
수평비틀림모멘트(7.2.6.4) - 적용내진설계범주(C,D)
격막이 유연하지 않을 경우에는 설계 시 수평비틀림모멘트를 고려하여야 한다. 수평비틀림 모멘트는 구조물의 질량 중심과 강성줌심 간의 편심에 의한 비틀림모멘트 Mt와 우발비틀림모멘트 Mta의 합으로 한다. 이때 비틀림 모멘트 Mt는 편심거리에 층전단력을 곱하여 산정하고, 우발비틀림모멘트 Mta는 지진력 작용방향에 직각인 평면치수의 5%에 해당하는 우발편심과 층전단력을 곱하여 산정한 모멘트로 한다. 우발편심은 질량 중심에 대하여 양방향 모두 고려하여야 한다.
-
비틀림의 동적증폭 비틀림 비정형 건물이 내진설계범주가 C, D일 경우 **비틀림증폭계수(Ax)**를 **우발비틀림 모멘트(Mta)**에 곱한다.
평면 또는 수직비정형성을 가지는 기타 구조물 또는 높이가 70m를 초과하는 정형구조물 → 동적해석법 사용
-
층간변위의 결정(7.2.8.1) - 적용내진설계범주(C,D)
층간변위는 주어진 층의 상하단 모서리 변위 간 차이 중 최대값으로 한다. (일반적인 경우 질량 중심의 횡변위 차이로 산정)
요철형 평면(H-2)
돌출한 부분의 치수가 해당하는 방향의 평면치수의 15%를 초과하면 요철형 평면을 갖는 것으로 간주한다.
격막의 불연속(H-3)
격막에서 잘려나간 부분이나 뚫린 부분이 전체 격막 면적의 50%를 초과하거나 또는 인접한 층간 격막 강성의 변화가 50%를 초과하는 경우, 격막의 불연속이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면외 어긋남(H-4)
수직 부재의 면외 어긋남 등과 같이 하중전달 경로의 불연속성이 존재하는 경우
-
불연속벽 또는 골조를 지지하는 부재(8.3.3) - 적용내진설계범주( B,C,D)
특별지진하중과의 조합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비평행 시스템(H-5)
횡력저항 수직 요소가 전체 횡력저항 시스템에 직교하는 주축에 평행하지 않은 경우
-
내진설계범주’C’(8.1.3.2) - 적용내진설계범주(C,D) ← C + 비평행 or D 일 때 적용
한 방향 지진하중 100%와 그에 직교하는 방향의 지진하중 30%에 대한 하중효과의 절대값을 합하여 구하되, 두가지 조합 중 큰 값을 택한다.
직교하는 두방향 하중효과의 100%를 제곱합제곱근 방법으로 조합한다.
-첨부파일-🗑️/Pasted-image-20230622204844.png)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