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진보강 시 제진장치의 사용
제진장치는 구조물의 감쇠를 증가시켜 응답을 감소시키는 내진보강방안입니다 에너지를 흡수하여 에너지소산형과 동조질량형 수동제진 능동제진
해석은 탄성으로 하지만 설계는 비탄성을 반영하는 이유
반응수정계수 R 값을 통해 구조물의 비탄성을 반영한다. 탄성설계로 비탄서설계를 고려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해석법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지진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유는 연성확보 연성확보
원의 지름을 구하는 방법 직잡 측정 : 비선형해석 지름에파이곱하기 : 선형해석 이제 파이를 소숫점 둘째자리까지 계싼하는것을 질량참여율 90%맞추는 이유
상재하중과 토압계수
사애하중은 도로인 경우 16 5 토압계수는 정지토압 수동토압 주동토압 상재하중은 활하중이므로 1.6을 사용합니다. 상재하중은 기초나 지하외벽 위에 지표면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고려하여산정합니다. 일반적으로는 5의 하중을 작용 사람이 모일 가능성 도로인 경우 16을 적용 26정도 적용 중량차량 활하중을 적용했을 때 20
비구조요소 내진설계 경험
- 치장외벽 석재
- 지하저수조 벽체
- 소화전함
- 파라펫 이렇게 하면 물어보겠지 어떻게 하는지 그에 대한 대답도 준비
풍하중과 지진하중이 구조물에 미치는 차이
내진설계의 의미
- 잦은 지진에 대해서는 피해가 없도록
- 중간 정도의 짖ㄴ에 대해서 인명안전
- 큰 지진에 대해서 붕괴방지 를 만족시키는게 내진설계
지하터파기 공사 프로세스 및 문제점
실무하면서 사용한 구조재료
- 콘크리트 고강도콘크리트 사용안해봄
- 철근 400600
- 철골
- 각형강관
- 스틸하우스
- 후시공앵커
- 파일
강도와 강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강도는 재료가 응력, 힘을 견딜수 있는 능력 강성은 재료가 힘을 받을 때 변형하는 정도 단위변형을 발생시키기 위한 힘 강도가 크다는 말은 큰 힘을 받을 수 있다.→. 고무 강성이 크다는 말은 변형이 적다 →. 유리 예시를 들자면 고무와 유리를 들 수 있다 고무는 강도는 크고 강성이 작은 재료 유리는 강성이 크고 강도가 작은 재료
내력벽과 전단벼골조 상호작용
공통점붜 생각해보자 두 골조 벽체를 주요 구조요소로 사용하는 시스템입니다 내력벽시스템은 중력방향과 횡력방향 모두 전다벽이 저항한다. 아파트와 같은 벽식 구조에 사용되며 수평부재는 보 없이 슬래브로 구성되어 스팬이 짧고 중량이 큰 편 전단벽골조 시스템은 횡력에 저하하는 벽체와 중력에 저항하는 골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골조가 횡력을 지지하는 정도에 따라 건물골초와 이중골조로 구성된다
목구조의 설계
목구조설계 해봤는데 설계방법에 대해 설명해보시오 이건 적기 좀 그런데 답변하기가 쉽지 않아.
구조안전점섬
정기안전전검 : 외관조사 수순 정밀안전점검 : 외관조사 및 측정시헝장비르 ㄹ이용한 조사 긴급안전점검 : 물리적기능적경함 발견 목표 정밀안전진단 : 결함 발견 후 보수보강 까지
단면응력 산정
정착철근 상세
정철근 부철근 정철근 상세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ㅏㄷ 정철근은 정모멘트에 저항하는 철근으로 보에서의 하부근을 나타낸다 하부근을 정착은 150이상 정착해야 하며 지진력을 받는 부재의 경우 항복강도가 발휘할 수 있도록 정착해야 햔다. 부철근의 정착ㄱ은 받침부에 구부려정착하거나 받침부를 관통하여 반대편에 정착할 수 있고 부철근의 1/3이사 여장길이 확보 단순 받침부와 바녹점은 유효한 정착을 위해 철근 직경을 제한한다.
성능ㅅ준
구조물의 성능수준은 기능수행 - 즉시복수 - 인명보호 - 붕괴방지 구조 : 거주가능 - 인명보호 - 붕괴방지 비구조 : 기능유지 - 위치고정 - 인명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