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크레인하중

크레인 설계시 고려해야하는 하중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정답:

크레인하중
  1. 크레인하중
    • 주행보, 브래킷, 가새 및 접합부를 포함한 크레인의 모든 지지요소들은 크레인 최대차륜하중, 수직충격하중, 횡방향 및 종방향 수평하중을 지지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2. 최대차륜하중
    • 크레인의 바퀴에 걸리는 최대하중 (충격하중 + 정격하중 + 크레인 자중)
  3. 수직충격하중
    • 크레인의 수직충격하중은 최대차륜하중에 대하여 다음의 비율로 산정한다.
    1. 모노레일크레인(전동식) : 25%
    2. 운전실조작 또는 원격조작 브릿지크레인(전동식) : 25%
    3. 팬던트조작 브릿지크레인(전동식) : 10%
    4. 수동식 브릿지, 트롤리, 호이스트를 가진 브릿지크레인 또는 모노레인크레인 : 0%
  4. 횡방향 수평하중
    • 전동식 트롤리를 가진 크레인의 주행보에 작용하는 횡방향 수평하중은 크레인의 정격용량과 호이스트 및 트롤리의 무게를 합한 값의 20%로 한다. 횡방향 수평하중은 주행보의 직각방향으로 주행레일 상부에 수평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하며, 주행보와 그 지지구조체의 횡방향 강성에 따라 분배한다.
  5. 종방향 수평하중
    • 수동식 브릿지를 가진 브릿지크레인을 제외한 크레인의 주행보에 작용하는 종방향 수평하중은 최대차륜하중의 10%로 한다. 종방향 수평하중은 주행보와 평행하게 주행레일 상부에 수평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