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콘크리트 구조물의 줄눈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시공줄눈, 신축이음, 조절줄눈, 수축줄눈) SOG 구조의 줄눈에 대해 설명하시오.

정답:

콘크리트 구조의 줄눈

시공줄눈(Construction Joint)
  1. 주요기능 및 정의 시공상 끊어치기가 필요할 경우 신•구콘크리트가 만나는 부분에 생기는 조인트
  2. 설치 부위 콘크리트 타설계획에 따라 설치부위가 정해짐
신축이음 (Expansion joint)
  1. 주요기능 및 정의 하중에 의한 구조물의 상대변위를 허용할 때 건조수축•팽창시 응력집중 방지 시 기초침하가 다를 경우 상대처짐 허용 시
  2. 설치 부위 온도차가 심함부분 동일건물에서 고층과 저층부가 만나는 부분 기존건물에 붙여서 새로운 건물이 증축될 경우 구조물의 평면•단면형태가 사각형이 아니면서 급격히 달라지는 경우
신축이음 및 시공줄눈 상세

조절줄눈 (Control Joint) / 수축줄눈 (Contraction Joint)
  1. 주요기능 및 정의
    • 콘크리트 건조수축 및 온도차에 의한 거동으로 균열이 발생하는데 콘크리트 면위에 취약한 면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그 위치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 이 때 콘크리트는 여전히 균열을 발생시키지만, 줄눈 이외의 면에서는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다.
  2. 설치부위
    • 균열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부위
    • 일반 슬래브 및 SOG
    • 옹벽 및 도로등

수축줄눈 (Shrinkage Trip), 지연줄눈
  1. 주요기능 및 정의
    • 콘크리트 타설 후 발생하는 수축응력과 크랙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슬래브, 벽체의 일부 구간을 비워놓고 2~4주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임시 Joint
  2. 설치 위치
    1. 길이가 긴 건물
    2. 두꺼운 구조물
    3. 두께가 얇은 벽체 및 슬래브 등

SOG 구조의 줄눈

  1. 조절줄눈(Control Joint) : 슬래브 단면에 약한 수직면을 만들어 균열 발생을 유도하여 건조수축과 온도변화등에 의한 슬래브의 수평방향 움직임을 허용
  2. 격리줄눈(Isolation Joint) : 슬래브 수평방향 움직임과 슬래브, 벽체, 기둥 및 기계기초 하부등 서로 다른 지반반력 차이로 인한 연직방향 움직임을 허용
  3. 시공줄눈 (Construction joints) : 콘크리트를 여러 구획으로 나누어 타설 할 경우 사용하며, 슬래브의 서로 다른 움직임을 허용하지 않음.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