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내진설계 범주에 따른 설계 시 고려사항
A~D별로 구분
정답:
비틀림의 고려 : 비틀림증폭계수, 층간변위의 산정 지진하중의 고려 : 방향 100:30, 수직지진력 해석방법 : 해석법, 정형 비정형의 의한 주의사항 고려 기타고려 : 전도모멘트, 피델타효과, 건물간거리
-첨부파일-🗑️/스크린샷-2024-03-20-오전-11.37.13.png)
내진설계 범주 A
- 해석법 : 등가정적해석법 적용 가능
- 부재력 산정방법 : 가장 큰 하중효과가 발생하는 방향, 임의의 두 직각방향
- 전도모멘트 : 모든 건물은 지진하중으로 인한 전도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
- 허용층간변위 : 질량중심의 횡변위 간 차
- 수평비틀림모멘트 : 우발편심과 비틀림모멘트 고려하여 설계
- 효과 : 최대층간변위하에 중력하중으로 인한 취성파괴와 전도에 대한 안정성 확보
내진설계 범주 B
- 건물의 형상 : 건물의 정형 비정형에 따른 설계 시 주의사항 적용
- 해석법 : 등가정적해석법 적용 가능
- 부재력 산정방법 : 가장 큰 하중효과가 발생하는 방향, 임의의 두 직각방향
- 전도모멘트 : 모든 건물은 지진하중으로 인한 전도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
- 허용층간변위 : 질량중심의 횡변위 간 차
- 수평비틀림모멘트 : 우발편심과 비틀림모멘트 고려하여 설계
- 효과 : 최대층간변위하에 중력하중으로 인한 취성파괴와 전도에 대한 안정성 확보
내진설계범주 C
- 건물의 형상 : 건물의 정형 비정형에 따른 설계 시 주의사항 적용
- 해석법 : 동적해석법 적용, 조견별 등가정적 해석 적용 가능, 추가내용은 내진설계범주별 해석법 참조
- 부재력 산정방법 : 비평형시스템일 때 100-30rule, 100% SRSS 고려
- 전도모멘트 : 모든 건물은 지진하중으로 인한 전도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
- 허용층간변위 : 비틀림 비정형일 경우 상하단 모서리 변위간 차이 중 최댓값
- 수평비틀림모멘트 : 우발편심과 비틀림모멘트 고려하여 설계
- 비틀림 증폭효과 : 비틀림 비정형일 경우 적용
- 효과 : 최대층간변위하에 중력하중으로 인한 취성파괴와 전도에 대한 안정성 확보
내진설계범주 D
- 건물의 형상 : 건물의 정형 비정형에 따른 설계 시 주의사항 적용
- 해석법 : 동적해석법 적용, 조견별 등가정적 해석 적용 가능, 추가내용은 내진설계범주별 해석법 참조
- 부재력 산정방법 : 100-30rule, 100% SRSS
- 전도모멘트 : 모든 건물은 지진하중으로 인한 전도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
- 허용층간변위 : 비틀림 비정형일 경우 상하단 모서리 변위간 차이 중 최댓값
- 수평비틀림모멘트 : 우발편심과 비틀림모멘트 고려하여 설계
- 비틀림 증폭효과 : 비틀림 비정형일 경우 적용
- 효과 : 최대층간변위하에 중력하중으로 인한 취성파괴와 전도에 대한 안정성 확보
- 수직지진력 : 수평내민보 고정하중의 20% 이상 상향하중
- 건물 간 거리 :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