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풍동실험 종류
- 풍력측정실험
- 풍압측정실험
- 풍환경평가실험
- 공기력진동실험
정답:
정리
풍력측정실험
- 주골조 설계용 풍하중 (밑면전단력, 전도모멘트) ⑥
- 진동에 대한 효과반영 (후류버펫팅, 와류) ①, ④
- 동적응답 (진동가속도, 진동변위)
- 공기력불안정진동 예상 시 공기력진동실험 실시
풍압실험
- 국부적인 풍압분포
- 주골조 설계용 풍하중 ②
- 외장재 설계용 풍하중 ②, ⑤
- 진동에 대한 효과반영 (후류버펫팅, 와류방출, 골바람효과) ④
풍환경실험
- 건물주변의 풍속할증 정도 ③
- 빌딩풍에 의한 주변영향 평가 ⑦
공기력불안정진동실험
- 풍력이나 풍압실험에서 예측이 어려운 진동에 대해 부가적인 변동풍력 산정 (와류진동, 겔로핑, 공기력불안정진동 등) ①
- 탄성모델을 사용하여 동적거동 재현
풍력측정실험(Force Balance Test) - 강체모형사용
- 목적
- 풍하중에 의한 건축물의 전단력, 전도모멘트 등을 정확히 예측하여 구조골조에 대한 내풍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
- 강체모형에 작용하는 풍력을 측정하고 풍력스펙트럼을 산출하여 풍하중에 의한 건축물의 진동가속도, 진동변위 등의 동적거동을 예측하고 거주자의 사용성을 평가
- 외력을 토대로 건물의 동적거동을 이론적 해석방법으로 예측
- 주요 실험결과물
- 구조골조의 전단력과 전도모멘트 → 풍하중에 대한 구조안정성 평가
- 진동가속도 및 진동변위 → 거주자의 사용성 평가
풍압측정실험(Pressure Test) - 강체모형사용
- 목적
- 건축물의 외장재, 경기장의 지붕마감재 등에 대한 풍하중을 예측하기 위한 실험으로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풍압의 증가를 측정할 수 있음
- 주요 실험결과물
- 구조물의 국부적인 풍압분포 → 외장재 및 마감재에 대한 풍하중 예측
- 주골조설계용 풍응답과 풍하중을 평가
풍환경평가실험(Pedestrian Test)
- 목적
- 풍환경평가실험에서는 이와 같은 신축건축물 주변의 풍환경의 변화를 예측하여 보다 쾌적한 건축공간을 위한 대책의 제안
- 풍하중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문제점
- 신축부지 주변 기류특성의 변화로 빌딩풍 또는 골바람과 같은 국부적 풍속증가현상 발생 → 사용자 및 거주자에 대한 사용성 문제, 비산물의 발생 등 환경적인 문제
- 풍속이 정체되는 현상 → 환기, 통풍을 저하
- 주요 실험결과물
- 건축물 주변의 풍속증감률 → 풍환경평가 및 개선대책
공기력 진동실험(Aeroelastic Test)
- 목적
- 건물의 동적특성을 모사한 탄성모형을 이용하여 바람에 의한 동적거동을 재현하는 실험
- 동적응답을 직접 측정, 진동모드 간의 합성효과 파악
- 풍력이나 풍압실험에서 예측이 어려운 부가적인 진동공기력이 포함된 진동측정도 가능
- 공기력 진동실험에서는 와류진동 및 겔로핑 등의 진동을 예측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