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지반조사와 평판재하시험

  1. 지반조사의 종류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2. 평판재하시험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정답:

지반조사의 종류

지하탐사법, 원위치시험, 보링 및 샘플링, 토질시험

지하탐사법
  1. 터파보기(test pit) 인력으로 정한 깊이까지 파서 필요한 자료를 얻는 방법으로 확실한 방법
  2. 짚어보기(sound rod,탐사정) 직경 9mm 정도의 철봉을 인력으로 회전하여 박아보고 그 저항울림, 꽂히는 속도, 손짐작 등으로 굳은 지층의 깊이, 지내력 등을 추정하는 방법, 정확하지 않음
  3. 물리적 탐사법 전기저항식, 탄성파식, 강제 진동식 등
원위치시험(Sounding Test)

지반의 저항력, 물리적 성질을 측정하기 위해 막대에 붙인 저항체를 보링구멍에 넣고 관입, 회전 빼돌리기 등의 저항으로부터 토층의 성상을 판단

  1. 표준관입시험(Standard Penetraion Test) 시험용 샘플러로 중량 63.5kg의 추를 750mm의 높이에서 자유낙하시켜 표준관입용샘플러를 300mm 관입시키는데 필요한 타격횟수 N값을 통하여 흙의 지내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사질지반에 적합
  2. Vane Test 보링의 구멍을 이용하여 +자형의 vane test를 회전시켜 그 저항력으로 점토의 점착력을 판별, 연한 점토질에 적합하며 시험측정길이는 15m 정도
  3. 원추관입시험(CPT) 원추모양의 콘을 관입시켜 관입저항치를 측정하는 방법 선단지지력과 전체지지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큰 자갈이외의 지반에 적용
  4. 측압사운딩 보링공에서 실시되는 수평방향 공내재하 실험 정지토압계수, 기초 지지력 등 설계에 필요한 자료를 구함
Boring 및 Sampling

보링은 지중에 철관으로 천공하여 채취한 토사로 판별하는 방법으로 지중의 토질분포, 흙의 층상 등을 알 수 있는 주상도를 작성할 수 있다.

  1. Boring 보링간격 : 30m 정도로 수직으로 굴착하며 부지내 3개소 이상 시행 보링깊이 : 소규모건물의 경우 기초폭의 1.5배~2배로 , 약 20m 이상 또는 지지 지층이상 시료관리 : 채취된 시료는 햇빛 방치를 금하여 충분한 양생이 필요 보링종류 : 충격식보링(충격날 이용), 회정식보링(bit를 회전), 오우거보링(나선형의 송곳), 수세식보링(이중관 이용)
  2. Sampling(시료채취) 시료(Sample) : 지반을 구성하는 지층, 토질, 지하수위 등을 판별하기 위해 보링을 통해 얻은 표본 불교란시료 : 지반의 자연상태에 가까운 시료 교란시료 : 토립자의 배열이나 구성상태가 흐트러진 시료
토질시험(Soil Test)

물리적 시험 : 토립자 비중시험, 흙의 함수량시험, 입도시험, 투수시험, 단위체적중략시험, 소성한계시험, 액성한계시험 역학적 시험 : 압밀시험, 전단시험

평판재하시험

지반의 허용지내력은 지반조사서를 바탕으로 경험식을 통해 추정하는 방법과 재하시험을 통하여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1. 개요
    • 지내력은 하중지지능력과 침하 또는 변형에 대한 지지능력을 말한다.(지지력+내력)
    • 기초저면까지 판 지반에서 직접재하
    • 재하판은 지름 300mm가 표준
    • 최대 재하하중은 극한지지력 또는 예상되는 장기하중의 3배
    • 매회 재하는 1t 이하, 예정파괴하중의 1/5 이하로 침하량이 2시간에 0.1mm 이하면 침하정지로 판단
  2. 목적
    • 지반의 극한, 항복 및 허용지지력을 알고자 할 때
    • 실내시험이나 사운딩 등으로는 지지력과 침하특성을 판정하기 어려울 때
    • 지지력이나 침하량이 허용한계에 가까울 때
    • 개량지반의 지지력을 구할 때
  3. 시험의 유의사항
    • Scale Effect 고려 (크기효과) : 재하판에 의해 얻어진 지지력은 실제 기초의 크기와 다르므로 이를 고려한다.
    • 최소 2개소 측정, 취약부 산정
    • 설계하중의 200~300%까지 실시
    • 하부 지층이 시험구간의 지층보다 견고해야 함 재하판 지름의 약 2배에 해당하는 깊이까지의 흙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므로 , 그 이상 깊이에서 연약지반이 분포할 경우 실제 지내력보다 큰 지내력이 평가될수 있다.
    • 다량의 자갈층은 시험결과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피해야 함
    • 지하수위를 고려해야 함 : 건기시 평판재하시험을 실시 했을 경우, 우기시 지하수위의 상승으로 지반의 극한 지지력도 감소한다.
    • 상재하중한 고려 : 평판재하시험은 시험지표면 위의 유효상재압이 제외된 상태에서 지지력을 측정하는 것이므로 지지력 산정시에 이를 고려해야 한다.
  4. 허용지내력 산정
    • 기초지반의 허용지지력은 구조물에 따른 침하량 허용범위, 기초의 근입깊이, 기초 구조물의 강성과 크기, 지하수위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영향을 받음
    • 따라서, 평판재하시험의 결과만으로는 결정할 수 없고, 이론적 해석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판정
    • 장기허용지내력 : [구조물의 허용침하량일 때의 P, Py/2, Pu/3]min
    • 단기허용지내력 : 장기허용지내력 × 2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