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전단스팬비에 따른 파괴형태를 설명하시오.
정답:
전단스팬비에 따른 파괴형태
전단스팬(전단경간)
- 전단스팬(Shear Span) 부재 내에 발생하는 최대 휨모멘트와 최대 전단력의 비
- 전단스팬비(Sgear Span Ratio) 전단스팬을 보의 유효춤으로 나눈 값
전단스팬비에 따른 파괴형태
- a/d > 5.5 : 휨파괴
- 경간의 중간에서부터 주응력선의 직각방향으로 균열이 발생. 이후 균열이 깊어지면서 중앙부에서 휨파괴 발생. 파괴 시 큰 처짐 발생
- a/d = 3~4 : 사인장파괴(Diagonal Tension Failure)
- 사인장 파괴 : 균열이 발생하여 파급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있음
- 일반적으로 단부 가까이의 휨균열에서 시작(휨전단균열 : Flexural Shear Crack)
- 보의 중간부에서 수평방향의 45º 가까운 경사
- 압축역에 들어서면서 압축응력의 저항을 받아 거의 평탄한 진행을 보이다가 정지
- a/d = 1~1.25 : 전단압축파괴(Shear-Compression Failure)
- 보의 전단력 지지능력 증가
- 하중이나 반력 자체가 사인장 균열의 진행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영향을 끼치기 때문
- 하중점 부근에서 집중하중에 의한 압축파괴가 동반 ← 전단압축 파괴
- 보의 전단력 지지능력 증가
- a/d ≤ 1 : 쪼갬파괴 or 압축파괴
- 사인장 균열발생의 가능성이 배제 ← 전단강도 크게 상승
- 하중점과 지지점 사이에 형성되는 압축대에 의하여 직접 전달
- 파괴형태
- 쪼갬파괴(Splitting Failure) : 단부콘크리트의 마찰저항이 작은 경우
- 압축파괴 : 지지부에서의 압축파괴

- 사인장 균열발생의 가능성이 배제 ← 전단강도 크게 상승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