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활하중의 부분재하(Pattern Lodaing)

정답:

활하중의 부분재하의 영향

적재하중 배치에 따른 가장 불리한 경우의 값 산정이 목적

  1. 1방향 슬래브(연속)
  2. 2방향 슬래브(등가골조법)
    1. 재하상태를 알 경우 - 그 하중에 대한 골조해석
    2. 재하상태를 모를 경우
      1. 사용활하중 3/4 사용고정하중
        • 최대 정, 부계수모멘트 : 모든 경간에 전 계수 활하중이 작용할 때
      2. 사용활하중 > 3/4 사용고정하중
        1. 경간 중앙 최대 정계수모멘트 : 전계수활하중의 3/4이 그 경간과 한 경간 건너 경간에 작용
        2. 받침부의 최대 부계수모멘트 : 전계수활하중의 3/4이 그 받침부에 인접한 2경간에 작용 단, 활하중 배치에 의한 계수모멘트는 전구간 전계수활하중을 작용할 때보다 작아서는 안된다.

하중의 작용형태에 따라서는 설계하중보다 작은 적재하중이 작용함에도 불구하고 국부적으로는 오히려 더 큰 부재응력이 발생하여 균열과 변형 등의 원인 되는 겨웅가 있는데, 이러한 것을 적재하중의 부분재하에 의한 영향이라고 한다. 창고와 같이 적재하중이 고정하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고 하중의 적재상태가 다양한 경우에는 부분재하의 영향이 크게 된다. 구조설계에도 이러한 경우를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원칙이나, 이렇게 할 경우 작업량이 매우 많아지므로 설계에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공사용 자재 등을 야적할 경우 한 곳에 집중시키지 않고 넓은 면적으로 균등하게 분산 야적하여 부분재하에 의한 영향으로 구조물에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