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허용응력 설계법
정답:
허용응력 설계법(Working Stress Design)(Allowabel Stress Design)
(부재 탄성상태, 골조 탄성상태)
개념
철근 콘크리트가 탄성거동을 한다는 가정에 의해 단면 성능을 계산하고 이 값이 재료강도의 허용응력 미만이 되도록 설계하는 방법 그러나 실제 콘크리트가 파괴될 때는 비선형 거동을 보이므로 실제와 맞지 않음.
- 강재가 공칭항복응력에 도달하면 파손이 일어난다고 하는 기준과 후크의 법칙을 따르는 이상적 선형 탄성 거동에 기초를 두고, 구조물 내의 응력이 허용응력을 넘을 수 없다는 가정에 기초를 두는 설계법
- 응력변화는 중립축에서 0이고 연단의 응력이 항복응력에 도달할 떄까지 선형적으로 변화함
- 보의 저항 모멘트 :
안전도 개념
- 안전율을 사용하여 구조물의 허용내력을 사용
- 구조물에 사용되는 공칭 항복 강도를 안전율로 나눈 허용내력을 사용
-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실제보다 크게 가정
- 하중계수를 사용하여 안전율이 적용된 계수하중에 의해 구조물을 설계하는 방법
장점
- 전통성
- 친숙성
- 단순성
- 편리성
단점
- 신뢰성 저하
- 임의성 내포
- 하중의 종류에 따른 변동 특성을 반영할 수 없다.
- 안전률은 경험에 의한 것으로 그 근거가 명확하지 않다.
- 건물의 종류나 하중 특성에 관계없이 일률적인 안전율을 사용하므로 부재사이의 안전도가 균일하지 않다.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