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내진구조의 내진보강, 제진보강, 면진보강에 대해 서술하시오.
정답:
내진구조
내진보강
- 내력향상 (강성증가)
- 내진벽, 강재브레이스, 외부버트레스
- 구조물에 항복이 일어나지 않도록 강도를 제공하는 것은 비경제적
- 연성개선
- 기둥과 벽의 변형성능을 향상
- 부재의 전단강도 증가
- 휨항복 선행을 위한 강판보강, 탐소섬유보강, 슬릿벽 등
- 구조물에 연성을 부여하여 지진에 대한 피해를 보더라도 인명을 보호하고 피해를 최소화한다.
제진보강
지진하중 또는 풍하중에 의한 진동에너지를 흡수 또는 소산시킴으로써 응답을 저감하여 구조물의 안전성 및 사용성을 확보하는 것
특징
- 지진에너지의 흡수를 통해 감쇠를 증가시켜 지진응답을 효율적으로 감소
- 기존 구조물의 구조형식에 구애받지 않는다.
- 보강개소가 적으며 외부에서만 보강가능하며 지진 후 피해복구도 효율적
- 에너지 흡수방식에 따라 이력형댐퍼, 점성형댐퍼로 구분
- 이력형댐퍼 : 강재의 탄성변형에 의해 이력감쇠를 이용한 탄소성댐퍼, 마찰댐퍼, 좌굴구속브레이스
- 점섬형댐퍼 : 오일댐퍼
- 지진시 건물의 층간변형을 집중적으로 받는 곳에 설치, 기존 건축물은 어느정도의 연성이 필요
- 전단파괴가 선행되는 부재는 내진보강을 병용한다.
- 구조용 브레이싱 : 강성 증가 → 주기감소 → 변위감소 + 지진하중 증가
- 제진용 브레이싱 : 감쇠 증가 → 변위감소 + 지진하중 감소
면진보강
구조물과 지반을 분리시켜 지반진동으로 인한 지진력이 직접 구조물로 전단되는 양을 감소시킨다. 건물의 기초하부나 중간층에 면진층을 설치하여 지진력을 저감시킨다 건물의 장주기화를 위해 적층고무, 베어링 등 면진장치 설치 동시에 지진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탄성댐퍼와 오일댐퍼 설치 적층고무 자체에 에너지 흡수력이 있는 고감쇠 고무를 이용하기도 함.
-첨부파일-🗑️/스크린샷-2024-03-21-오후-2.57.35.png)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