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콘크리트 내구성 설계기준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정답:
콘크리트 내구성 설계기준
탄산화 노출등급(EC) : 탄산화에 대한 철근부식
| 항목 | EC1 | EC2 | EC3 | EC4 |
|---|---|---|---|---|
| 수분상태 | 건조, 영구적습윤(기초, 건물내부) | 습윤상태(지하) | 보통정도 습도 (비 맞지않는 외부) | 건습 반복 (비 맞는 외부) |
| 최소압축강도 | 21 | 24 | 27 | 30 |
-
비를 맞는 외부 콘크리트는 노출등급 EC4 적용
-
단, 방수처리된 표면의 경우 외부 콘크리트는 EC3 적용
방수관련 KS 인증자재
-
외부 석재 및 조적마감의 경우 EC4
건축물 외벽 마감이 내구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제조되고 시공된 것이 아니라면, 사용중 마감재의 파손, 탈락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하고, 마감재의 줄눈 등을 통한 유해물의 침투를 막기 어렵다고 판단됨.
단, 방수를 목적으로 규격에 적합한 방수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EC3 사용 가능(내구성 설계, 탄산화 방지 코팅 )
해양환경 노출등급(ES) : 염화물에 의한 철근부식
| 항목 | ES1 | ES2 | ES3 | ES4 |
|---|---|---|---|---|
| 염화물상태 | 해안가 근처(공기중 염화물) | 염화물을 함유한물에 계속 노출 | 해수에 침지된 경우 | 건습이 반복되는해수에 노출 |
| 최소압축강도 | 30 | 30 | 35 | 35 |
- 해안 근처 구조물 또는 도로주변의 염화물 영향 건출물은 ES1 적용
-첨부파일-🗑️/Pasted-image-20230620212411.png)
- 비래염분의 영향을 받는 거리는 동해안은 해안선으로부터 1Km, 서남해안은 250m로 적용해도 대부분의 지역은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됨. 공기 중의 제빙화학제에 영향을 받는 거리는 도로 외측으로부터 수평방향 10m, 수직방향으로 5m
- 수영장은 ES2 적용, 화확약품을 사용하는 경우 EA등급 적용
- ES 등급은 피복두께 별도 적용
- 벽체, 슬래브 50
- 그 외의 부재
- ES1,ES2 : 60
- ES3 : 70
- ES4 : 80
- KCS 14 20 44 해양콘크리트 배합
- 내구성으로 정해지는 최소 단위 결합재량(kg/m2)
| 환경구분 /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 20 | 25 | 40 |
|---|---|---|---|
| 물보라 지역, 간만대 및 해양대기중(ES1, ES4) | 340 | 330 | 300 |
| 해중(ES3) | 310 | 300 | 280 |
동결융해 노출등급(EF) : 제빙화학제가 사용되거나 수분에 접촉되면서 동결융해 반복작용
| 항목 | EF1 | EF2 | EF3 | EF4 |
|---|---|---|---|---|
| 수분포화도와 염화물노출여부 | 간혹 수분접촉 염화물 X | 간혹 수분접촉 염화물에 노출 | 지속적 수분접촉 염화물 X | 지속적 수분접촉 염화물 노출 |
| 최소압축강도 | 24 | 27 | 30 | 30 |
- 건물 외벽,보 등(흙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비를 맞을 수 있는 구조물) : EF1
- 제빙화학제에 노출되는 도로의 수직구조물 : EF2
- 물이 고일수 있는 수평면, 옥상 : EF3
- 도로포장, 교량 바닥판, 물보라에 영향받는 도로인접 구조물 : EF4
- KCS 14 20 10 공기량의 표준값
황산염 노출등급(EA) : 수용성 황산화염 이온농도
| 항목 | EA1 | EA2 | EA3 |
|---|---|---|---|
| 황산화염 이온농도 | 보통수준 노출 | 유해한수준 노출 | 매우 유해한 수준 |
| 최소압축강도 | 27 | 30 | 30 |
정리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