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위 상승 시 응급조치

지하수위로 인한 문제저 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지하수위를 낮춰야 한다. 물길을 만들어 강제배수 공법 적용 지하구조물 재설계 필요 : 지하외벽, 기초, 부력

건축구조기술사의 업무범위

  1. 설계단계 : 구조계획서, 구조도면, 구조도면 검토, 구조시방사, 구조설계서, 구조시방서
  2. 시공단계 : 구조감리, 현장기술지원, 기술자문, 상세도서의 구조안전확인, 시공하자 평가
  3. 유지관리단계 : 안전점검, 안전진단, 보수보강설계, 리모델링, 용도변경, 증축검토, 내진성능평가
  4. 기타 : 비구조요소 설계, 가설구조물 검토, 신기술관련 구조검사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의종류

정기안전검검 : 육안검사로 간단하게 자주 긴급안전점검 : 재해나 재난 발생우려가 있는 경우 시행하며 시설물의 물리적 기능적 결함을 파악하기 위해 정밀안전점검 : 외관조사와 함께 시설물 주요부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측정 정밀안전진단 : 정밀안전점검에 구조물의 안정성 평가까지 각등급별로 점검 및 진단은 받는 주기가 다름

감리와 CM에 관련된 법령 6가지

높은 건물과 낮고 넓은 건물 설계 시

높은 건물과 낮은 건물의 차이는 주기가 다른다 풍하중과 지지낳중 넓은 건물의 문제는 건조수축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EJ 설치를 고려하며

해석은 탄성으로 하지만 설게는 비탄성을 하는 이유

그것은 구조물의 비탄성변형능력을 고려하여 반응수정계수를 통해 지진하중을 나눠주기 때문이다. 구조물의 비탄성변형능력을 고려하여 지진하중을 감소시키고 비탄성변형을 확보하기 위해 건축물에 내진상세를 적용한다. 소성힌지영역에성의 안정적인 에너지소산

아웃리거

초ㅗㄱ층건축물의 설계는 초기계획 단계부터 구조와 건축의 협력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초고층 설꼐 방법으로는 아우실거, 벨트러스 벨트월, 튜브구조, 등이 있다 메가칼럼 아웃리거의 경우 어떤 층에 넣을건지 피난층

화재 발생 시 부재평가

일단 육안검사를 통해 콘크리트 색을 이용해 온도를 예측할 수 있고 피해를 예측할 수 있다. 500도이상에서는 콘크리트가 분해하면 중성화가 가속화 된다. 중성화가 진행되면 철근의 부식이 발생하기 떄문에 중서오하 깊이를 체크하는 것은 중요하다.

안전진단시 조사항목

철콘 : 주요 부재의 내력, 접합부 내력 규격 강재

붕괴사건

마우나리조트 : 적설하중 고려안함, 접합불량으로 인한, 중도리의 휨, 강재 성수동 진동 : 운동시설로 인한 공진 광주붕괴 : 슬래브 변경으로 인해 지지방식을 콘크리트 가벽으로 변경하여 하중 증가 동바리설치규정을 어김, 강도미달 최근 붕괴사건

플랫플레이트 구조형식

33 지판 없으면 36지판있으면

설계기준

건축구조기준 : 설계하중 내진서례 구조설계기준의 콘크리트, 철골 보수보강에는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싯ㄹ시 내진설계 및 보강 :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메뉴얼 / 기존시설물 내진성능평가 및 향상요령

경사지붕적설하중

평지붕적설하중 × 지붕경사도계수 : 경사지붕적설하중 염화이온량 0.3kg 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