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콘크리트 내구성 설계기준의 보수 보강 설계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정답:
콘크리트 내구성 설계기준의 보수 보강 설계
KDS 14 20 40 4.2 보수·보강 및 유지관리(KDS)
4.2.1 설계 일반
- 콘크리트 구조물은 주어진 주변 환경조건에서 목표 수명기간 동안에 안전성, 사용성, 내구성, 미관을 갖도록 유지관리하여야 한다. 완공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정기적인 점검과 보수보강을 통해 본래의 기능을 유지하고 사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 균열이 발생한 구조물에 대하여 균열 발생의 원인 및 그 유해성에 관한 검토가 필요할 때에는 KDS 140 20 30 (부록) 에서 제시하고 있는 방법에 따라 검토하여 제반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 기존 구조물의 안전성 평가는 KDS 14 20 90에 따라 수행하여야 한다.
- 구조물의 안전을 점검하기 위한 안전진단과 보수보강설계는 책임구조기술자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
4.2.2 보수보강설계
-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안전성, 사용성, 내구성, 미관 등의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한 보수는 타당한 보수설계에 근거하여야 한다.
- 기존 구조물에서 내하력을 회복 또는 증가시키기 위한 보강은 타당한 보강설계에 근거하여야 한다.
- 보수보강 설계를 할 때는 구조체를 조사하여 손상 원인, 손상 정도, 저항내력 정도를 파악하고 구조물이 처한 환경조건, 하중조건, 필요한 내력, 보수보강의 범위와 규모를 정하며, 보수보강재료를 선정하여 단면 및 부재를 설계하고, 적절한 보수보강공법을 검토하여야 한다.
- 보강설계를 할 때에는 보강 후의 구조내하력 증가외에 사용성과 내구성 등의 성능 향상을 고려하야야 한다.
- 책임구조기술자는 보수보강 공사에서 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공정별로 품질관리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