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시간이력해석법
선형시간이력해석법 비선형시간이력해석법 지반효과의 고려
정답:
시간이력해석법
장점
가장 정확한 결과를 주는 해석으로 거동을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상세 파악 관성력, 감쇠력, 지진하중과의 상관관계 고려가능
단점
설계지진이 가정된 것이므로 결과값의 차이 발생가능 시간 간격의 크기에 따른 오차로 인해 여러시간간격에 대해 해석을 수행한다.
지반효과의 고려
지반운동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고려하기 위하여 구조물 인접지반을 포함하여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모드중첩법 (탄성시간이력해석)
층전단력, 층전도모멘트, 부재력 등 설계값은 시간이력해석에 의한 결과에 중요도계수를 곱하고 반응수정계수로 나누어 구한다. 모드의 직교성에 따라 고유진동 모드의 거동을 다른 모드와 독립적으로 구하고 각 모드의 거동을 조합하여 전체 거동 결정
- 등가정적하중의 85% 이상 (Cm값 고려)
- 손쉽게 정확한 수치를 얻을 수 있다.
- 비선형 거동을 반영하지 못한다.
- 실제 강성의 변화와 점진적 손상의 누적효과를 반영하지 못한다.
직접적분법 (비선형 시간이력해석)
짧은 구간마다 운동방적식을 직접적분하여 해석 변화하는 부재의 강성을 정확히 표현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 사용 (부재의 이력곡선) 해설결과에 비탄성 거동이 고려 (반응수정계수 고려 X)
- 정확한 비선형 해석 가능
- 계산이 오래걸림
지반효과의 고려
지반운동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고려하기 위하여 구조물 인접지반을 포함하여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기반암 상부에 위치한 지반을 모델링해야 하며, 되도록 넓은 면적의 지반을 모델링하여 구조물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반의 운동이 구조물과 인접지반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기반암의 특성을 가진 지진파를 이용하여 기반암의 지진입력에 대하여 해석을 수행한다.

선형시간이력해석법
동정해석, 탄성, 설계지진파

비선형시간이력해석법
설계방법
- 탄성 거동을 고려하여 부재설계
- 부재의 이력곡선 정의
- 설계지진파 산정
- 비선형 해석 (지진파 및 모드별로 해석)
- 목표변위 검토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