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프리스트레스 구조의 개요 및 분류

프리스트레스 구조의 개요 및 분류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정답:

정의

콘크리트의 인장응력이 생기는 단면 부분에 미리 압축력을 주어 인장력에 대한 저항을 증대시키도록 제작된 콘크리트.

장점 및 단점
장점

변형, 처짐, 균열 저항성능 향상 장스팬의 설치가능 내구성과 수밀성 증가 자중절감 가능 그러나 휨강도 증가는 없다(사용하중상태에서는 균열이 발생하지 않지만 파괴시에는 균열이 발생하기 때문)

단점

고강도 강재 사용으로 내화성 불리 응력이나 안전성을 검토할 단계가 많으며 세심한 주의가 필요 고강도의 재료를 사용하여 비용이 비쌈

제작방식에 따른 분류

프티텐션 : 긴장재 인장 → 콘크리트 타설 → 절단

장점

제품의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 동일한 형상/치수의 프리캐스트 부재를 대량으로 제조 쉬스, 정착장치 등이 필요없다.

단점

대형부재의 제작에는 적합하지 않음(긴장재를 곡선으로 배치 어려움) 부재의 단부에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기 때문에 설계에 주의

포스트텐션 : 비부착긴장재 매입 → 타설 후 경화 → 긴장

장점

대형구조물에 적합(PS 강재 곡선배치 가능) 인장재 불필요 → 현장에서 쉽게 프리스트레스 도입 PC 부재의 결함과 조립에 편리하게 이용 부착시키지 않은 PC부재는 그라우팅이 필요하지 않으며 PS강재의 재긴장도 가능하다

단점

부착시키지 않은 PC부재는 부착시킨 부재에 비하여 파괴강도가 낮고 균열폭이 커지는 등 역학적 성능이 떨어진다.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