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깊은보의 설계 일반사항
깊은 보의 전단설계 시 최소철근량
정답:
깊은보는 휨부재의 설계 가정 중 변형률은 중립축부터 거리에 비례하다는 가정을 적용할 수 없는 보
깊은보의 조건
하중과 받침부 사이에 압축대가 형성되는 구조요소
- 순경간이 부재 깊이의 4배 이하인 부재
- 받침부 내면에서 부재 깊이의 2배 이하인 위치에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경우는 집중하중과 받침부 사이의 구간
- 비선형 변형률 분포를 고려하여 설계하거나 KDS 14 20 24 (스트럿타이모델)을 고려하여야 하며 횡좌굴을 고려하여야 햔다.
- KDS 14 20 22 4.7 깊은보에 대한 전단설계
- KDS 14 20 52 4.4.1.(5) 휨철근의 정착일반 중 철근응력이 직접적으로 휨모멘트에 비례하지 않는 부재의 인정철근은 적절한 정착을 마련하여야 한다.
깊은보의 전단설계
KDS 14 20 22 4.7 깊은보에 대한 전단설계
- 깊은 보의 (5파이브이씨)
깊은보의 전단설계 시 최소철근량
- 수직전단철근의 단면적 이상, , 300mm 이하
- 수평전단철근의 단면적 이상, , 300mm 이하
- 스트럿타이모델 적용시 만족하는 철근 배근 가능
깊은보의 최소 휨인장철근량
- 설계휨강도가 1.2 × 균열모멘트 이상 → 일반보와 동일
깊은보의 정착
KDS 14 20 52 4.4.1.(5) KDS 14 20 52 4.4.2.(5) KDS 14 20 52 4.4.3.(4)
- 철근응력이 직접적으로 휨모멘트에 비례하지 않는 휨부재의 인장철근은 적절한 정착을 마련하여야 한다.
- 깊은보의 단순 받침부에서 정모멘트 철근은 fy를 발휘할 수 있도록 정착하여야 한다. 깊은보의 내부 받침부에서 정모멘트 철근은 연속되거나 인접 경간의 정모멘트 철근과 겹침이음이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받침부 전면에서 철근의 인장력이 매우 크기 때문)
- 깊은보의 내부 받침부에서 부모멘트 철근은 인접경간의 부모멘트 철근과 연속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관련자료
- https://www.youtube.com/results?search_query=%EA%B9%8A%EC%9D%80%EB%B3%B4
- [[_[Deep Beam 검토].xlsx]]
-첨부파일-🗑️/스크린샷-2024-01-24-오후-9.02.43.png)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