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깊은보의 설계 일반사항

깊은 보의 전단설계 시 최소철근량

정답:

깊은보는 휨부재의 설계 가정 중 변형률은 중립축부터 거리에 비례하다는 가정을 적용할 수 없는 보

깊은보의 조건

하중과 받침부 사이에 압축대가 형성되는 구조요소

  1. 순경간이 부재 깊이의 4배 이하인 부재
  2. 받침부 내면에서 부재 깊이의 2배 이하인 위치에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경우는 집중하중과 받침부 사이의 구간
  • 비선형 변형률 분포를 고려하여 설계하거나 KDS 14 20 24 (스트럿타이모델)을 고려하여야 하며 횡좌굴을 고려하여야 햔다.
  • KDS 14 20 22 4.7 깊은보에 대한 전단설계
  • KDS 14 20 52 4.4.1.(5) 휨철근의 정착일반 중 철근응력이 직접적으로 휨모멘트에 비례하지 않는 부재의 인정철근은 적절한 정착을 마련하여야 한다.
깊은보의 전단설계

KDS 14 20 22 4.7 깊은보에 대한 전단설계

  • 깊은 보의 (5파이브이씨)
깊은보의 전단설계 시 최소철근량
  • 수직전단철근의 단면적 이상, , 300mm 이하
  • 수평전단철근의 단면적 이상, , 300mm 이하
  • 스트럿타이모델 적용시 만족하는 철근 배근 가능
깊은보의 최소 휨인장철근량
  • 설계휨강도가 1.2 × 균열모멘트 이상 → 일반보와 동일
깊은보의 정착

KDS 14 20 52 4.4.1.(5) KDS 14 20 52 4.4.2.(5) KDS 14 20 52 4.4.3.(4)

  1. 철근응력이 직접적으로 휨모멘트에 비례하지 않는 휨부재의 인장철근은 적절한 정착을 마련하여야 한다.
  2. 깊은보의 단순 받침부에서 정모멘트 철근은 fy를 발휘할 수 있도록 정착하여야 한다. 깊은보의 내부 받침부에서 정모멘트 철근은 연속되거나 인접 경간의 정모멘트 철근과 겹침이음이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받침부 전면에서 철근의 인장력이 매우 크기 때문)
  3. 깊은보의 내부 받침부에서 부모멘트 철근은 인접경간의 부모멘트 철근과 연속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관련자료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