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B82. Cantilever Method
정답:
개념
- 건물의 높이가 증가할수록
- 건물이 세장할수록
- 보의 강성이 클 경우에 대하여 증가
- 건물의 높이 - 폭의 비가 약 5:1까지, 35층 정도의 구조물 해석에 적절
Portal method와의 차이점
- 기둥에서의 전단력에서 보다는 축력에서 계산이 시작된다.
- 임의의 층에서의 직접적인 해석을 허용하지 않는다.
캔틸레버 방법에 필요한 가정
- 각 보의 주앙점에 한 개의 변곡점이 있다.
- 각 기둥의 중앙점에 한개의 변곡점이 있다.
- 각 기둥에 발생하는 축력은 각 층의 모든 기둥 중심에서 그 기둥까지의 거리에 비례한다.
해석방법
- 모든 기둥의 단면적이 같다고 가정하고 기둥의 중심위치를 구한다.
- 골조의 최상층부터 기둥의 변곡점까지 자유물체도를 통해 각 기둥의 축방향력을 구한다.
- 각 층보의 전단력을 구한 뒤, 보의 단부모멘트를 구한다.
- 기둥의 단부모멘트는 절점에서의 모멘트평형을 고려하여 구한다.
- 기둥의 수평전단력은 각 기둥의 양단모멘트합을 기둥의 길이로 나누어 구한다.
- 검토 - 각 층의 수평전단력의 합은 그 층 이상의 외력의 합과 같다.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