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휨재 개요

  1. 모멘트-곡률 그래프로 보의 거동을 설명하시오.
  2. 보의 종류 별 간단하게 설명하시오. (하이브리드보, 합성보, 커버플레이트, 허니컴보, 변단면보, 플레이트 거더)
  3. 플레이트 거더의 인장역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정답:

휨재의 거동

보의 종류
  1. 하이브리드 보 : 저강도 웨브와 고강도 플랜지를 용접합 보
  2. 합성보 : 강재보와 RC slab를 전단연결재로 연결하여 일체화 시킨 보
  3. 커버플레이트 : 플랜지에 용접 or 볼트로 강판을 접합하여 만들며 시공성, 가공성 우수
  4. 허니컴 보 : 웨브를 지그재그로 절단하여 돌출부끼리 용접접합 시킨 것
  5. 변단면보 : 휨모멘트의 변화에 따라 웨브의 춤을 일정한 구배로 변화시킨 보
  6. 플레이트 거더 : 강판으로 조립한 H형강
플레이트 거더의 인장역 작용 (후좌굴)

압연형강으로 내력 및 처짐을 만족시키기 힘들 때 사용 플레이트거더의 장점 : 장스팬 구조 요구시 시공성, 가공성 뛰어남, 층고가 낮은 장점 플레이트거더의 단점 : 트러스보다 같은 스팬 및 하중상태에서 강재량 많이 소요

인장역 작용 발생 메커니즘( 장력장)

플레이트 거더의 웨브 부분이 트러스의 사재처럼 거동하는 것

  1. 큰 전단력이 발생하는 위치에서 웨브에서 사선방향의 주응력 생기고 압축력에 의해 좌굴이 발생
  2. 압축력 발생 시 중간 스티프너에 수직분력이 전달, 플랜지에 수평분력이 전달되어 웨브판 요소는 인장응력만 받게 된다.
  3. 웨브 좌굴 이후 플레이트 거더는 프랫프러스 처럼 거동
  4. 중간 스티프너는 수직압축재, 웨브 패널은 대각선 인장재 역할
  5. 웨브판은 압축응력보다 인장응력에 더 강하므로 좌굴 후 강도가 더 높아지는데 이를 인장역작용이라 한다.
플레이트 거더의 전단강도

전단강도는 웨브의 폭두께비 및 중간스티프너의 간격에 의해 결정 전체강도는 좌굴전의 강도와 인장역 작용에 의해 발생한 후좌굴강도를 합한 것이 된다.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