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벽체 철근비 1%이상일 때 기준상 조치사항

정답:

KDS 14 20 72 4.1 설계일반 (1)

벽체는 계수연직축력이 이하이고 수직철근비가 1% 이하인 부재를 가리키며, 이외의 부재는 KDS 14 20 20, KDS 14 20 50의 압축부재의 설계 및 배근 원칙을 따라야 한다. 수직부재의 취성적 파괴를 억제하기 위한 배경에서 규정되었다.

KDS 14 20 72 4.2 최소철근비 (6)

수직철근이 집중배치된 벽체 부분의 수직철근비가 1% 이상인 경우 KDS 14 20 50(4.4.2) 압축부재의 횡철근 규정에 따라 횡방향 띠철근을 설치하여야 하며, 이외의 경우에는 횡방향 띠철근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띠철근의 수직간격은 벽체두께 이하로 하며 수직철근이 압축력을 받는 철근이 아닌 경우에는 횡방향 띠철근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


Q4. 그럼 그… 우리 벽체철근비가 1% 넘어갈때 기준상 조치해야될 것이 있는데 설명해보세요. A4. (1%??? 1%??? 너무 1%에만 집착해서 실수하였음.) 아.. 제가 벽체의 수직철근비가 1.2% 이상이어야 되는 건 알고있지만, 1% 관련된 부분은 잘 모르겠습니다. 알아보겠습니다.

>> 1.2%가 아니라 0.12%임. 1%가 뭐지?? 에 너무 집중한 나머지 미쳐가지고 햇갈렸습니다. 참고로 면접관님의 “벽체” 워딩이 함정이었습니다. 벽체라도 내력벽일 경우 수직력을 분담할 수 있으므로, 수직재로 볼 수 있습니다. 수직재의 경우 최소철근비가 1%이지만, 내력분담률에 따라 최대 0.5%까지 저감할 수 있는 조항이 있습니다.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