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부착 및 정착의 기본개념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부착에 의한 파괴형태를 설명하시오
정답:
철근의 정착과 부착파괴
정착의 기본개념
철근콘크리트 부재 각 단면의 철근에 작용하는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단면의 양측에서 발휘될 수 있도록 묻힘길이, 갈고리, 기계적 정착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철근을 정착하여야 한다.
- 부착응력 철근과 주위 콘크리트의 경계면에 생기는 전단응력 (부착파괴가 발생하기 전에 철근이 항복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 정착길이
콘크리트에 묻혀 있는 철근이 힘을 받을 때 뽑히거나 미끄러짐 변형이 생기는 일이 없이 항복강도에 이르기까지 응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최소한의 묻힘길이

부착에 의한 힘의 전달
- 콘크리트의 화학적 접착력과 마찰에 의해 미끄러짐 변형에 저항 큰 저항 성능 없고, 곧 상실됨
- 이형철근의 경우 리브와 마디에 의한 콘크리트 지압응력 발생
부착파괴의 종류
- 뽑힘부착파괴
- 이형철근의 마디 사이의 콘크리트가 지압파괴되어 철근이 뽑히는 형태의 부착파괴
- 콘크리트 두께가 두꺼울 경우
- 철근사이의 간격이 넓을 경우
- 나선철근이나 띠철근에 의해 횡방향으로 구속되는 경우
- 이형철근의 리브와 마디가 필요이상으로 깊을 경우
- 이형철근의 마디 사이의 콘크리트가 지압파괴되어 철근이 뽑히는 형태의 부착파괴
- 쪼갬부착파괴
- 콘크리트에 발생되는 지압응력에 의한 방사선 방향의 변형이 구속되지 않을 경우 철근의 리브와 마디에 접촉된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며, 철근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증가와 함께 철근의 마디와 리브가 이 균열에 쐐기작용을 하여 균열이 표면까지 빠른 속도로 파급되는 쪼갬부착파괴가 발생한다.
- 피복두께가 얇을 경우
- 철근의 간격이 좁을 경우
- 일반적으로 보 상하부의 부착파괴는 쪼갬파괴의 형태
- SD600 철근 사용 시 쪼갬부착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제한사항
- 콘크리트에 발생되는 지압응력에 의한 방사선 방향의 변형이 구속되지 않을 경우 철근의 리브와 마디에 접촉된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며, 철근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증가와 함께 철근의 마디와 리브가 이 균열에 쐐기작용을 하여 균열이 표면까지 빠른 속도로 파급되는 쪼갬부착파괴가 발생한다.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