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강구조물에서 접합부 형태에 따른 이력거동을 설명하시오
정답:
접합부 형태에 따른 이력거동
접합부 형태에 따른 이력거동
- 기둥과 보를 연결하는 접합부는 힘과 모멘트를 한 부재에서 다른 부재로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구조적으로 강구조의 거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기둥-보 접합부에 전달되는 힘으로 축력, 전단력, 휨모멘트, 비틀림이 있으나 면내하중과 변형만 고려하므로 비틀림 영향 무시, 축박향 변형과 전단변형을 회전변형에 비해 작아서 접합부의 회전변형만을 가장 중요한 인자로 고려한다.
- 접합부의 구조해석과 설계과정의 간편함을 위해 강정합과 핀접합 2가지로 이상화하여 다루지만 실제거동은 반강접부를 포함한다.
핀접합(전단접합, 단순접합) : 0~20%의 모멘트 저항
- 전단만 전달하고 모멘트는 전달할 수 없는 접합부
- 최대모멘트가 중앙에서 발생하며 단부모멘트가 감소쇠디 때문에 보의 단부는 모멘트에 대해 안전
- 모멘트 저항의 정도가 모멘트 내력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때 무시하고 전단에만 저항하는 것으로 간주
- 전단부에서 휨모멘트가 조냊하지 않는다는 가정을 하고 전단력만을 전달하기 위해 설계
- 강구조 건물에서 횡하중을 접합부가 아닌 대각 가새 또는 전단 벽체를 통해 얻을 때 적절, 고층 건물의 튜브구조 형식에서 보-기둥 접합부나 저층 구조물, 공장 및 창고 건물등과 같은 간단한 구조물에 많이 사용
- 시공이 간단하다
반강접합 : 20~90%의 모멘트 저항
- 부재 단부의 회전저항에 따른 단부 모멘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접합
- 보통의 설계에선 대부분 전단접합 or 강접합으로 가정 하지만 실제 구조물에서는 반강접합 상태가 대부분
- 전단과 강접 접합부의 중간 값을 가지는 전단과 모멘트에 대해 저항하도록 설계
- 등분포하중을 받는 보의 경우 단부 접합부의 최전저항에 따라 최대 모멘트의 위치와 값 변화
- 강접합의 경우보다 단부에서의 단면을 감소 → 전단접합보다 경제적 설계 가능
- 일반적으로 소성해석을 통해 건물이 설계되는 경우는 반강접합부는 사용하지 않음
강접합 : 90~100%의 모멘트 저항
- 이론적으로 보 단부의 회전을 허용하지 않고 100%에 가까운 단부 모멘트를 기둥이나 이음부에 전달하는 접합부
- 부재의 연속성이 유지되도록 충분한 회전강성을 갖는 접합
- 전단과 휨 모멘트 전체에 저항하도록 설게
- 충분한 회전저항력 확보를 위해 기둥의 웨브에 스티프너 필요, 충분한 기둥 패널존 강성 필요
- H형강 사용시 기둥-보 접합부는 기둥 관통형이 보통 → 보 단부에 생기는 휨모멘트가 보 플랜지 위치에서 기둥에 집중력으로 작용 → 패널존의 플랜지와 웨브는 국부휨, 국부항복 등 파괴유발 → 수평스티프너 설치
- 종류 : 엔드플레이트 접합, 스플릿 티 접합 등
-첨부파일-🗑️/스크린샷-2024-04-04-오후-8.40.55.png)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