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지진력저항시스템의 설계계수
- 반응수정계수
- 시스템초과강도계수
- 변위증폭계수
정답:
-첨부파일-🗑️/스크린샷-2024-01-10-오후-1.53.13.png)
반응수정계수(R)
- 비탄성변형능력과 재료초과강도, 안전률(강도감소계수, 하중계수)을 고려하여 지진하중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 붕괴의 위험이 없는 범위 내에서 비탄성 변형과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능력으로 탄성설계를 통해 간접적으로 건물의 비선형거동을 고려할수 있도록 하는 계수
반응수정계수 적용 이유
- 실제 구조물의 힘과 변형은 항복점을 넘어 좌굴하거나 비탄성 거동을 한다.
- 적절한 연성, 정형성, 연속성을 가지도록 설계된다면 감소된 하중에 의하여 구조물의 탄성설계하여도 구조물은 충분히 그 성능에 도달할 수 있다.
- 지진저항시스템은 어느 정도 여유도를 가지고 있고 초과강도를 얻을 수 있다.
- 비탄성거동을 하면 감쇠증가로 에너지 소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실제 구조물의 첫 의미 있는 항복점은 설계지진력보다 30~100% 더 큰 횡하중 수준에서 일어날 수 있다.
- 만약 적절한 연성상세, 여유성, 정형성이 주어진다면 구조물의 완전한 항복은 주어진 설계력 수준의 2.5~4.5배 정도되는 하중 수준에서 발생할 것이다.
- 설계기준과 상세기준의 연성능력은 부재 또는 구조물이 에너지 소산능력을 조장하고 구조시스템에 치명적인 파괴나 붕괴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비탄성거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시스템초과강도계수 ( )
- 변형능력이 취약하거나 과도한 비탄성변형능력이 요구되는 부재의 내진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초과강도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특별지진하중에 대하여 해당 부재의 강도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계수
변위증폭계수 ( )
- 반응수정계수에 의하여 저감된 설계지진하중에 대한 해석결과로 산출된 탄성변위로부터 지진에 의한 실제 비탄성 변위를 산정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첨부파일-🗑️/Pasted-image-20240402115048.png)
-첨부파일-🗑️/스크린샷-2024-04-04-오후-3.13.19.png)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