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유효지반가속도

정답:

유효지반가속도

설계스펙트럼가속도 산정을 위한 유효지반가속도(S)는 지진구역계수(Z)에 2400년 재현주기에 해당한는 위험도계수(I) 2.0을 곱한 값으로 하거나 국가지진위험지도로부터 구할 수 있다. 단, 국가지진위험지도를 이용하여 결정한 S는 지진구역계수에 위험도계수를 곱한 구한 값의 80%보다 작지 않아야 한다.

지진 위험도
  1. 최대고려지진은 내진설계에서 고려하는 가장 큰 지진으로서 국가지진위험지도의 2400년 재현주기에 해당한다.
  2. 기본설계지진은 스펙트럼가속도가 최대고려지진에 의한 값의 2/3 수준에 해당하는 지진으로 정의한다.
  • 최대고려지진은 극한상태인 붕괴방지수준에서 검토되며, 동등한 설계방법에 따라 설계지진에 대해 인명안전수준을 만족시키는 경우 확률적으로 그보다 1.5배 큰 유효지반가속도수준의 지진에 붕괴방지수준도 만족시킬수 있다. 따라서 기본설계지진을 최대고려지진의 2/3 수준으로 정의하여 이 수준으로 설계시 최대고려지진에서의 붕괴방지 성능까지 확보할 수 있다. 기본설계지진은 건축물의 중요도계수를 적용하지 않은 지진위험도임에 유의한다.
지진구역계수

지진구역 Ⅰ 과 지진구역 Ⅱ 의 기반암상에서 평균재현주기가 500년인 지진의 유효수평지반가속도를 중력가속도 단위로 표현한 값을 말한다. Z는 재현주기 500년의 지진위험도로 정의된 유효지반가속도

지진구역 및 지진구역계수
지진구역행정구역지진구역계수,Z
나머지0.11
강원 북부, 제주0.07
유효최대가속도

EPA(Effective Peak Acceleration) : 0.1~0.5초 구간의 PGA(최대지반가속도)의 값을 평균하고, 여기에 2.5(지반의 증폭효과 제거)를 나눈 값 최대지반가속도, 유효최대가속도

유효지반가속도(S)

재현주기 2400년을 기준으로 정의되는 최대고려지진의 유효지반가속도(EPA) 위험도계수

재현주기50년100년200년500년1000년2400년
위험도계수0.40.570.731.01.42.0

국가위험지도를 이용하여 결정한 S는 지진구역계수에 위험도계수를 곱하여 구한 S값의 80%보다 작지 않아야 한다.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