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비틀림 해석이론에 대해 서술하시오

정답:

비틀림 해석이론

박벽관이론

그림

  1. 비틀림을 지지하는 보를 내부콘크리트 일부분을 무시한 박벽관으로 이상화
  2. 비틀림 저항은 주로 폐쇄스터럽과 부재 표면 가까이에 위치한 종방향철근에 의해 결정
  3. 전단흐름q = 전단응력 × 벽두께t
입체트러스 이론

그림

  1. 비틀림을 지지한느 보는 둘레에 대각선 균열이 발생하며, 균열도니 튜브의 응력상황은 입체트러스로 이상화할 수 있다.
  2. 각 튜브벽에 작용하는 전단흐름의 합력은 트러스에 부재력을 유발한다.
  3. 인장타이 역할을 한느 철근 , 압축스터럿 역할을 하는 콘크리트 부재로 구성
  4. 트러스모델의 부재력은 힘의 평형조건에 의해 결정

박벽관 이론 근거

비틀림을 지지하는 보를 아래 그림과 같이 내부 콘크리트 일부분을 무시한 박벽관으로 이상화하여 해석한다. 일단 철근콘크리트 보에 비틀림에 의하여 균열이 발생했다면 비틀림 저항은 주로 폐쇄스터럽과 부재의 표면 가까이에 배치된 종방향 철근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한 박벽관 이론에서 비틀림 저항은 일정한 두께를 가진 단면의 외피층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하며, 이때 외피의 중심은 대략 폐쇄스터럽의 중심선과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전단흐름q = 전단응력 × 벽두께t

center

입체트러스 이론

콘크리트보에 비틀림이 작용할 때, 보의 둘레에는 대각선균열이 발생하며, 균열된 튜브의 응력상황은 아래 그림과 같이 입체트러스로 이상화할 수 있다. 트러스의 사방향부재는 의 경사각을 가지며 모든 튜브벽에서 이러한 사방향 부재의 기울기는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여기서 대각선방향부재의 경사각은 반드시 45도 일 필요는 없으며, 각 튜브벽에 작용하는 전단흐름의 합력은 트러스에 부재력을 유발한다. 트러스모델은 인장타이 역할을 하는 철근 및 압축스트럿 역할을 하는 콘크리트부재로 구성된다. 트러스모델의 부재력은 힘의 평형조건에 의하여 결정되며, 이러한 부재력은 철근 배치 및 상세설계에 사용된다.

center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