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필로티구조 설계 및 구조감리 주안점
정답:
Q7. 그 포항지진 일어나지 않았습니까? 이 때 건물들이 많은 피해를 입었는데, 특히 필로티구조물에서요. 포항지진의 특징과 이 필로티구조물을 설계할 때 주안점을 말씀해보세요.
A7. 네 말씀드리겠습니다. 포항지진의 경우 지진파 S파가 주로 단주기성분에 민감한 지진파로 이루어져있어, 상대적으로 단주기성분이 지배하는 저층구조물에 피해를 많이 끼쳤다는 사실을 언론으로 접했습니다. 특히, 필로티구조물이 피해를 많이 입었습니다. 필로티구조물은 주로 고유치해석을 실시할 경우 비틀림지배거동이 일어나는 경우도 많고(이때 기분탓인지 면접관들 갸우뚱함), 필로티기둥도 비틀림응력을 주로 받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내진설계를 수행할 경우, 소성힌지가 형성되는 단부부근에만 횡철근을 집중하여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기둥 전 구간에 횡철근을 배치하여 설계를 하게 됩니다. 그 간격은 대략 6db, 150 이하여야 합니다. (틀렸음) 또한 1층구조물과 상부 벽체의 구조양식이 다르기 때문에 이에 의한 응력흐름의 불연속적인 부분을 전이구조로써 풀어내야 하는데, 이에 따라 필로티기둥과 전이보 혹은 전이플레이트로 구성될 경우 이 부재에 대해 특별지진하중을 적용해서 고려해야 합니다. 물론, 상부로부터 연속된 전단벽이 아닌 필로티에 홀로 존재하는 전단벽도 특별지진하중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구조감리를 실시할 경우에 필로티벽체나 코어벽에 각종 설비시설을 시공해선 안되며, 이는 감리 시 특별히 유의해야 할 사항입니다.
>>> 6db, 150이 아니라 h1/4, h2/4, 150 이하입니다. (오답)

-첨부파일-🗑️/스크린샷-2024-09-24-11.48.55.png)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