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시스템의 조합시 요구사항

수직조합에 대한 계수 2단계 해석에 의한 설계 수평조합에 대한 계수 조합골조의 설계

정답:

동일축에서 시스템의 조합

수직 조합에 대한 계수(6.4.1)

동일방향의 지진하중에 대하여 지진력저항시스템이 수직으로 조합되어 사용된 구조물의 경우, 다음 요구사항을 따른다. 단, 지하구조물은 이 절의 적용대상에서 제외한다.

  1. 하부 시스템이 R이 상부 시스템의 R보다 더 작은 경우, 상부 시스템의 설계에는 상부 시스템의 설계계수를 사용할 수 있다. 하부 시스템의 설계에는 하부 시스템의 설계계수를 적용하여야 하고, 또한 상부 시스템으로부터 하부 시스템의 설계에는 하부 시스템의 설계계수를 적용하여야 하고, 또한 상부시스템으로부터 하부 시스템으로 전달되는 힘은 상부 시스템의 R을 하부 시스템의 R로 나눈 값을 곱하여 증가시켜야 한다.
  2. 하부 시스템의 R이 상부 시스템의 R보다 큰 경우, 상부 시스템의 설계계수를 상부 및 하부 시스템 모두에 적용하여야 한다.

다만 , 다음의 경우는 예외로 한다.

  1. 높이가 2층 이하이고 전체 구조물 중량의 10% 이하인 옥상 구조물
  2. 전체 구조물 중량의 10% 이하의 중량을 갖는 별도 지지된 구조물
  3. 1가구 및 2가구 단위의 경량골조 독립주택
  • 연성능력이 큰 하부 시스템과 연성능력이 작은 상부 시스템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연성능력이 작은 상부 시스템에 따라 지진하중을 보수적으로 결정한다. 그 이유는 지진발생 시 연성능력이 작은 시스템에 의하여 전체 구조시스템의 연성능력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2단계 해석에 의한 설계(6.4.2)

강한 하부 구조위에 유연한 상부구조가 사용된 구조물의 경우 1.과 2.를 만족시킬 경우에는 3.과 4.의 2단계 등가정적해석을 사용할 수 있다.

  1. 하부 부분의 강성이 상부에 비해 10배 이상일 경우
  2. 전체 구조물의 주기가 상부 부분을 밑면이 고정된 별도의 구조물이라고 가정하였을 때 얻어진 기본 주기의 1.1배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
  3. 유연한 상부 부분은 적절한 R값을 사용하여 별도의 구조물로서 설계한다.
  4. 강한 하부 부분은 적절한 R값을 사용하여 별도의 구조물로 설계한다. 상부 부분으로부터 반력은 상부 부분의 해석으로부터 얻은 반력값에 하부부분의 R값에 대한 상부 부분의 R값의 비를 곱하여 구한다.

수평 조합에 대한 계수(6.4.3)

반응수정계수 R은 옥상층을 제외하고, 상부층들의 동일방향 지진력저항시스템에 대한 R값 중 최솟값을 사용하여야 한다. 변위증폭계수 Cd 및 시스템초과강도계수는 그 방향의 R에 상응하는 값을 사용하여야 한다.

조합골조의 설계(6.4.4)

반응수정계수가 서로 다른 시스템들에 의하여 공유되는 구조부재의 경우에는 그중 큰 반응수정계수 R에 상응하는 상세를 갖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