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극한강도설계와 한계상태설계법

정답:

콘크리트는 극한강도설계, 강구조는 한계상태설계법이라 부르는 이유_111회★★

  1. 콘크리트구조의 경우에는 하중에 계수를 반영하고 극한상태에서 강도를 검토하는 측면에 서 기존 강도설계법과 유사하나 재료특성이 추가로 반영되며 극한상태를 단면의 파괴가 아닌 구조시스템의 파괴로 간주하는 측면이 다르다.
  2. 강구조의 경우에는 동일한 하중조건에서 강재의 응력을 탄성범위가 아닌 극한강도까지 최대한 활용해 부재를 설계하므로 강재 절감이 가능하고 신뢰성을 재고한 점을 기존설계 법과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 볼 수 있다.
  3. 강구조의 경우, 단면의 소성을 넘어 구조시스템이 불안정상태가 될 경우를 파괴로 간주 하며, 콘크리트 구조의 경우, 부재단면이 극한상태에 도달할 경우를 구조물의 파괴로 간 주한다. 사용하중 상태에서의 사용성 같은 거동은 별도로 검토해야 한다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