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부력에 대한 안정성 확보 대책
정답:
설계용 지하수위란 무엇인가?
- 지반조사 보고서에 표시된 지하수위는 지반조사를 하기 위하여 뚫은 보링공에 물을 채우고 24시간 후에 측정한 수위이다.
- 물이 잘 안 빠지는 진흙이나 암반 등 경질지반을 파고 건물을 지은 후 주변의 빈공간을 흙으로 메우면 장마철이나 건물 주면 지표수가 그 메운 흙 사이로 스며들어 이 물은 외부로 빠져나갈 물길이 없으므로 지하실 외벽과 바닥에 지속적으로 압력을 가한다.
- 시공시에는 메말랐던 투수성이 좋은 모래질 지발에 장마철이면 사방에서 물이 스며들어 높은 압력을 구조물에 가한다.
- 이와 같이 설계용 지하수위는 지바조사 보고서에 표시된 지하수위가 아니라 그 외에 주변지층이나 환경 등을 잘 살펴서 결정되어야 한다.
고정하중을 증가시키는 방법
- 고장하중과 부력의 차이가 작을 때, 고정하중을 늘려 부력을 해결하는 방식
- 기초의 중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이중 슬래브 사이에 골재 등을 채워 중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옥상정원 등을 만들어 중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강제배수
- 기초바닥 아래에 인위적인 배수층을 형성하여 부지 내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집수정으로 모아, 기계식 배수장치를 설치하여 부력을 해결하는 방법
- 기초바닥 하부 배수층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 배수층이 막힐 경우 지하수에 의한 수압이 기초 및 바닥슬래브에 부휨모멘트력을 발생시키므로, 최소한의 부력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영구배수
건물 기초 바닥에 작용하는 상향 수압처리를 위해서 적용하는 기초 바닥 영구배수 시스템으로서, 대부분 고정하중+영구(부력)앵커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나, 지하수의 분포에 따라 구조물에 작용하는 상황수압문제를 보다 안정성 있게 해결하는 방법, 즉 인위적인 배수층을 형성하여 부지 내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집수정으로 모아, 매일 정기적인 강제적 배수에 의한 펌핑으로 기초 바닥 슬래브에 양압력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시스템
-첨부파일-🗑️/IMG_0711.jpeg)
자연배수
- 지하실 외벽 밖에 배수로를 설치해서 낮은 쪽으로 물을 유도하여 장마철 일시적인 표면수 유입이 있다 해도 저절로 배수되게 함.
시공중 배수•침수
- 구조설계시에는 완성된 상태에서의 힘의 평형을 감안하여 구조계산을 하지만 시공중 흙파기 공사로 파놓은 웅덩이 속에 물이 차면 구조물이 뜨게 된다.
- 흙파기 공사로 파놓은 웅덩이 속에 물이 차지 않도록 배수하거나 지하실 내부로 물이 자유롭게 들어갈 수 있는 가설 물구멍을 마련하여 지하실 내부에 찬 물로서 부력에 저항하는 방법.
영구 앵커에 의한 방법
- 부력에 저항토록 건물 하부에 락앵커를 설치하는 방식
- 락앵커는 고정하중의 부족분만큼 시공되고, 시공시 발생할 수 있는 부력에 대해서는 각종 배수공법을 통한 지하수위의 관리가 필요하다.
현장 체크사항
- 시공시 배수 및 침수 관계
- 장마철과 같은 우수기에 흙파기 공사로 파놓은 웅덩이 속에 물이 차서 시공중인 구조물이 부력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지 여부
- 불균형하중 작용시
- 지하실 위에 지상층이 일부분에만 건축되고, 큰 부력이 주요하중으로 작용되는 경우 지하실만 있는 부분에 작용하는 불균형 하중의 처리여부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