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장력장(Tension Field)

정답:

장력장
  1. 정의
    • 축압축 부재는 좌굴 후 즉시 붕괴하나 평판에 면내력이 작용할 때 좌굴 후에도 계속 저항력을 나타내어 바로 극한상태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후좌굴(Post Buckling)현상이라 하며 발생 면을 장력장이라고 한다.
  2. 발생위치
    1. 판형 거더의 상.하 플랜지와 복부판의 수직보강재로 둘러싸인 Panel 부분에 큰 전단력이 작용하는 경우 발생한다. 즉, 복부판에 전단응력이 크게 발생되어 전단좌굴 후에도 바로 파괴되지 않는데 판형의 상.하 플랜지와 복부판의 수직보강재는 각각 Pratt Truss 의 현재와 수직재로 작용하여 약 45º 방향으로 주름이 생기면서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인장력장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인장력장은 Truss의 사재로 작용하며 보 작용의 전단력 이외의 추가적인 전단력에 저항할 수 있다.
    2. 복부판의 전단응력이 작아 보 이론에 의한 응력상태로 있는 경우도 후좌굴이 발생한다.
  3. 인장력장 해석개념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