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문제
table without id
file.link as "문제번호",
설명,
tags,
중요,
반복도,
풀이
from "(11) 문제모음"
Where
contains(관련노트,[[S14. 노출형 합성보]])
sort 반복도 desc
START 서브노트 문제:
S14. 노출형 합성보의 안전성 검토
단면성질 산정 스터드앵커 Rg, Rp 값에 대해 서술하시오.
정답:
스더트앵커의 구조제한(상세요구사항
- 스터드 앵커의 콘크리트 피복두께는 어느 방향으로나 25mm 이상 데크플레이트 골 속에 스터드앵커 설치되는 경우는 예외. 또한 스터드앵커의 중심에서 전단력방향에 있는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는 보통콘크리트에서는 200mm 이상, 경량콘크맅에서 250mm 이상
- 강재보 웨브 바로 위의 플랜지에 설치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스터드앵커의 지름 는 플랜지 두께의 2.5배 이하로 한다.
- 스터드앵커의 높이 는 스터드 앵커의 지름의 4배 이상으로 한다.
- 스터드앵커의 피치는 스터드앵커 지름의 6배 이상으로 하고, 스터드앵커의 게이지는 스터드앵커 지름의 4배 이상으로 한다.
- 스터드앵커의 중심간 간격은 슬래브 총 두께의 8배 또는 900mm를 초과할 수 없다.
데크플레이트에 스터드앵커가 사용된 경우의 구조제한
- 스터드 앵커의 지름 는 19mm 이하로 한다
- 데크플레이트 리브의 춤 은 75mm 이하로 한다.
- 데크플레이트 리브 또는 헌치의 평균 폭 은 50mm 이상으로 한다.
- 스터드앵커는 설치 후 데크플레이트 상단 위로 38mm 이상 돌출되어야 하며 스터드앵커 상단 위로 13mm 이상의 콘크리트 피복이 있어야 한다.
- 데크플레이트 상단 위의 콘크리트 두께는 50mm 이상이어야 한다.
- 데크플레이트는 지지부재에 450mm 이하의 간격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합성보의 처짐
활하중에 의한 처짐 ≤ L/360 고정하중과 활하중에 의한 처짐 ≤ L/240 : 데크플레이트, 토핑콘크리트, 강재보에 의한 고정하중 : 콘크리트 양생 후 경량칸막이 등 마감에 의한 고정하중ㅇ



END
아직까지는 문제유형에서 처짐을 구하라는 문제는 없지만 예제에 있기 때문에 근데 예제에 이게 뭔지 모르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