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바닥판의 진동현상과 검토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정답:
바닥판의 진동
요약
- 공진현상 : 구조체의 진동수와 하중의 진동수가 일치할 때 진폭이 계속해서 커지는 현상이다. 그러나 실제 구조물에서는 감쇠가 존재하므로 진폭의 증가는 계속되지 않고 자유진동의 형태로 운동한다.
- 맥놀이 현상 : 구조체의 진동수와 하중의 진동수가 비슷할 때 진폭이 변화하는 현상. 실제구조물에서는 공진현상보다 맥놀이 현상이 주로 발생한다.
- 진동제한 : 바닥판의 진동제한은 최소 고유진동수를 통해 제한하며 용도별진동평가 곡선을 사용하여 진동에 대한 사용성을 검토한다.
바닥판의 진동현상
- 구조물의 진동수와 작용하는 하중의 진동수가 정확하게 일치할 경우에 공진형상이 발생한다.
- 감쇠가 없는 경우 시간 증가에 따라 구조물의 진폭은 계속하여 증가한다.
- 실제 구조물에서는 감쇠가 존재하므로 진폭의 증가는 계속되는 것이 아니고 일정시간 이후에는 구조물의 자유진동의 형태로 운동한다.
- 공진현상이 발생될 경우 진폭이 크게 증가하므로 구조물 설계시 반드시 공진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려해야 한다.
바닥판의 진동제한
‘강구조 구조설계 예제집 - 대한건축학회(2002)’
- CEN EC 3/1 에서는 바닥진동의 제한값을 아래 표와 같이 규정하고 있다. 이때 고유진동수는 다음 식에 의해 산정한다.
- : 기본 진동모드의 진동수 계수 (단순지지보 = 9.869 / 양단고정보 = 22.37 / 캔틸레버보 = 3.516 / 1단고정,타단 힌지보 = 15.418)\

- AISC 특별보고서에서는 바닥구조의 고유진동수가 9Hz 이하이면 공진에 의해 9~18Hz 이면 충격응답거동에 의해 18Hz 이상이면 정역학적 강성에 의해 설계되어야 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 국제규격에서는 용도별진동평가곡선 사용
바닥판의 맥놀이현상
- 구조물의 진동수와 하중의 진동수가 미세한 차이가 있을 경우 발생한다.
- 주로 음향학에서 주파수가 약간 다른 두 개의 음파가 서로 간섭하여 진폭이 변화하는 현상으로 맥놀이 현상이라고 한다.
- 실제 구조물에서도 구조물의 진동수와 하중의 진동수의 미세한 차이에 의해 공진현상보다 맥놀이 현상이 주로 발생하게 된다.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