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수직저항시스템이란
바닥구조시스템
- 역할
- 분류
- 무량판 구조의 경제성
정답:
바닥구조시스템의 역할
- 연직분포하중을 기둥이나 벽과 같은 수직부재에 전달
- 수평하중을 다양한 수평하중 지지 시스템 등에 전달하는 것
- 수직구조에 연결지어 건물의 강성을 증가
- 마감재와 같은 비구조적인 요소를 지지
- 화재에 의한 손상을 방지
- 소음차단
바닥구조시스템의 분류
- 철근콘크리트 구조
- 1방향 슬래브
- 2방향 슬래브
- 플랫 플레이트 슬래브
- 플랫 슬래브
- 와플 슬래브
- PC 슬래브
- 철골구조 -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바닥판
- 일반형
- 데크플레이트 합성바닥판은 종래의 거푸집을 대신하여 단면의 휨강성이 높은 강재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상부에 와이어 메시 등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이다.
- 셀러 데크형
- 셀러(Cellular) 데크 바닥판은 데크플레이트의 마루 또는 골에 강판을 깔아 공동구를 구성하고 이러한 공동구를 덕트로 하여 전기배선을 이용한 방식이다. 대용량의 배선이 가능하고 OA기기의 증가에 따른 선로변경 및 증설이 용이하다. 그 이외의 사항은 일반형과 같다.
- 페로 데크형
- 페로(Ferro) 데크는 절곡 강판에 트러스근을 용접한 것이다. 철골조의 경우 보에 데크를 용접하고, 철근콘크리트와 철골철근콘크리트조의 경우는 보거푸집에 못을 박아 고정시킨다. 데크를 부설한 후 설비배관재와 와이어 메시를 설계에 따라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이다.
- 일반형
바닥구조시스템의 경제성
- 일반적으로 1방향 슬래브에 비해 2방향 슬래브가 골조 물량 면에서 경제적이다.
- 보-슬래브 구조에 비해 무량판 구조는 다음과 같은 경제성을 가진다.
- 골조공사비는 보-슬래브 구조에 비해 약 5~10% 정도 비용 절감효과가 있다.
- 층고감소에 따른 외부 마감재 공사비의 절감효과가 있다.
- 공기단축에 따른 직접비, 간접비 감소효과가 있다.
E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