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하중조합

정답:

설계하중의 종류

D : 고정하중(Dead load)

L : 활하중(Live load)

Lr : 지붕활하중(Roof live load)

S : 적설하중(snow load)

W : 풍하중(Wind load)

E : 지진하중(Earthquake Load)

H : 지하수압• 토압, 분말 및 입자형 재료의 횡압력(Hydraulic and Soil Pressure)

T : 온도하중(Thermal Load)

F or H : 유체압(Fluid pressure), 용기내용물하중

M : 운반설비 및 부속장치 하중(Moving Load)

R : 강우하중(Rain Load)

강도설계법 또는 한계상태설계법

  1. 1.4(D+F)
  2. 1.2(D+F+T) + 1.6L + 0.5(Lr or S or R)
  3. 1.2D + 1.6(Lr or S or R) + (1.0L or 0.5W)
  4. 1.2D + 1.0W + 1.0L + 0.5(Lr or S or R)
  5. 1.2D + 1.0E + 1.0L + 0.2S
  6. 0.9D + 1.0W
  7. 0.9D + 1.0E
  • 주차장과 공공집회 장소를 제외하고 기본등분포활하중이 5.0kN/m2 이하인 용도에 대해서는 (3~5)의 하중조합에서 활하중에 대한 하중계수를 0.5로 저감할 수 있다.
  • 지하수압•토압 또는 분말 및 입자형 재료의 횡압력에 의한 하중 H가 존재할 때는 다음의 하중계수를 적용하여 조합하여야 한다.
    1. H가 단독으로 작용하거나 H의 하중효과가 다른 하중효과를 증대하는 경우에는 하중계수를 1.6으로 하여야 한다.
    2. H의 하중효과가 영구적이면서 다른 하중효과를 상쇄하는 경우에는 하중계수를 0.9로 하여야 한다.
    3. H의 하중효과가 영구적이지 않으면서 다른 하중효과를 상쇄하는 경우에는 하중계수를 0으로 하여야 한다.
  • 별도 요구가 있는 경우 시공하중에 대한 하중조합을 추가하여 고려한다.

허용응력설계법

  1. D + F
  2. D + F + T + L
  3. D + F + (Lr or S or R)
  4. D + F + 0.75(L+T) + 0.75(Lr or S or R)
  5. D + F + (0.65W or 0.7E)
  6. D + F + 0.75(0.65W or 0.7E) + 0.75L + 0.75(Lr or S or R)
  7. 0.6D + 0.65W
  8. 0.6D + 0.7E
  • 지하수압•토압 또는 분말 및 입자형 재료의 횡압력에 의한 하중 H가 존재할 때는 다음의 하중계수를 적용하여 조합하여야 한다.
    1. H가 단독으로 작용하거나 H의 하중효과가 다른 하중효과를 증대하는 경우에는 하중계수를 1.0으로 하여야 한다.
    2. H의 하중효과가 영구적이면서 다른 하중효과를 상쇄하는 경우에는 하중계수를 0.6로 하여야 한다.
    3. H의 하중효과가 영구적이지 않으면서 다른 하중효과를 상쇄하는 경우에는 하중계수를 0으로 하여야 한다.
  • 이 하중조합을 사용할 경우에는 허용응력을 증대하여 설계할 수 없다.
  • 별도 요구가 있는 경우 시공하중에 대한 하중조합을 추가하여 고려한다.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