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평지붕적설하중
평지붕적설하중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완경사지붕의 최소적설하중에 대해 설명하시오.
정답:
평지붕적설하중
- 평지붕적설하중 ()
- 기본지붕설하중계수 : 일반적으로 0.7로 한다.
- 노출계수 A. 지형, 높은 구조물, 나무 등 주변환경에 의해 모든 면이 바람막이가 없이 노출된 지붕이 있는 거센바람 부는 지역 : 0.8 B. 약간의 바람막이가 있는 거센바람 부는 지역 : 0.9 C. 바람에 의한 눈의 제거가 지형, 높은 구조물 또는 근처의 몇몇 나무들 때문에 지붕하중의 감소를 기대할 수 없는 위치 : 1.0 D. 바람의 영향이 많지 않은 지역 및 지형과 높은 구조물 또는 몇몇 나무들에 의하여 지붕에 바람막이가 있는 지역 : 1.1 E. 바람의 영향이 거의 없는 조밀한 숲 지역으로서, 촘촘한 침엽수 사이에 위치한 지붕 : 1.2
- 온도계수
- 난방구조물(적설하중 제어구조) : 1.0
- 비난방구조물(적설하중 비제어구조) : 1.2
- 중요도계수
| 중요도 | 특 | 1 | 2 | 3 |
|---|---|---|---|---|
| 중요도계수 | 1.2 | 1.1 | 1.0 | 0.8 |
완경사지붕의 최소적설하중
- 15° 이내의 낮은 경사도를 가진 지붕 또는 처마에서 꼭대기까지를 연결한 직선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10° 보다 낮은 곡면지붕은 평지붕설하중의 최소허용값 이상이어야 하고, 그 값은 (2), (3)으로 구한다.
- 지상설하중이 1.0 kN/m2 이하인 곳 : 지상설하중에 중요도계수를 곱한 값 이상으로 한다. 단, 그 값이 점유·사용하지 않는 지붕의 활하중보다 작은 경우는 1.0 kN/m2 으로 한다.
- 지상설하중이 1.0 kN/m2을 초과하는 곳 : 1.0kN/m2에 중요도계수를 곱한 값 이상으로 한다.
- 설하중에 대해서는 활하중의 감소를 고려하지 않는다.
참고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