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에서 사용한 구조재료
- 콘크리트
- 철골 공장
- 경량철골 주택
- 합성보, 합성기둥 - 체육관 1층 수영장 2층 체육관
- 기타
- 원형강관
- 경량목구조
L 자형 평면의 문제
지진발생 시 크ㅔ 문제가 되는 부분은 두가지가 있다. 끝부분의 변형 집중 따라서 보강이 필요하다. 다이아프램의 문제 비평해잇스템으로 100대 30 적용하고 모드합성 SRSS로 진행
내세울만한 프로젝트나 경험
- 수많은 필로티 구조물 설계 경험
- 레이커 설계
- 구조심의건
트러스 구조에 대해
내진성능평가
- 예비평가
- 선형평가
- 현장조사에서 주요한 요소 : 구조도면의 유무, 조적벽 평가, 증개축의 조사, 하중, 열화요소
특수전단벽
- 벽체 최외단부를 감싸는 폐쇄형 후프형태로 이루어지며 U형 스터럽과 연결철근으로 구성할 수 있따.
- U형 스터럽은 인장정착길이만큼 정착
- 횡방향철근가녁은 단면치수의 1/3
안전점검
정기안전점검 정밀안전점검 긴급안전점검 정밀안전진단 :
내진성능절차
슬래브 전단보강
슬래브 전단보강 경험은 없지만 기초의 전다보강 경험은 있다. 2면전단 부족분 만큼 전단철근이 저항하는 것으로 전단위험단면을 증가시켜 전단강도를 증가시킨다. 보강시 스래프의 두께는 150이상 전단보강철근의 16배 이상
지하구조 토압계산방법
지하구조의 토압은 정적토압과 지진토압이 있다 정적토압은 기존에 하던 방식 대로 진행하고 지진토압 산정방법은 등가정적법, 단일코사인, 이중코사인, 흙기둥모델링 방법 등이 있다.
- 등가정적법 : 15미터 기초의 높이가 2/3 이내 일떄
- 응답변위법 : 유한요소해석, 단일코사인, 이중코사인, 부지응답해석
- 시간이력해석법 : 수치해석적으로 모사 7개 이상의 지진기록 입력
철근 샵드로잉
주로 확인하는 부위 샵드로잉을 검토해본적은 없다 검토한다면 철근 배근 간격 직경 등 반영이 잘되어 있는지 정착부상세 중간모멘트 골조 이면 이음위치, 정착 보강근의 반영 ,
- 시고잉 가능한지 추후 배근에 시공이 편한 배근을 위해
재미를 위한 설계 재미있어서 한다는 어떻게 보면 이기적이라고 볼수있는 이유가 구조설계를 더 잘하고 어떻게 하면 같은 비용으로 안정성을 확보할수 있으띾? 구조안전성을 유지하면서 비용을 어떻게 하면 낮출수 있을까?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뭘까? 이런 물음과 물음을 해결하는 재미가 가장 큰 동기부여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재미를 어떻게 추구할수 있나? 제가 생각하는 방안은 구조설계를 직접진행하는 사람과 구조설계 일을 따온다고 표현하죠 일을 따오는 사람이 달라서 발생한다. 그러므로 두가지 방안이 있을수 있다. 따오는 사람이 설계를 직접하는 방식. 아니면 지속적인 대화와 회의 서로가 원하는 것을 말하고 지향하는 방향 개인과 회사의 이익실현을 위한 대화 /. 서로가 어떤 생각을 했고 어떤 방법을 통해 실현시켰는지에 대한 대화
용어
스캐럽 : 영접이 교차되는 부분의 열영향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부채꼴모양의 모따기 플래지와 웨브가 겹쳐지는 부분에 있다. 엔드탭
그루브 용접
완전용입용접 개선용접 고유진동주기가 클수록 고차모드의 영향이 큰 것을 고려
용접겹침이음
조건 19이하 22이 이상 탄소달량으로 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