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연속전단벽과 연결보

연속전단벽시스템과 연결보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연결보

정답: 전단벽구조시스템 대각연결보

개요

벽과 벽을 연결하는 휨저항 요소로 구성된 구조물은 전단벽 시스템의 강성과 효율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을 Coupled wall system 이라 한다.

Coupled wall system의 거동(연결보)
  1. 전단벽이 축력만 전달시킬 수 있는 핀접합된 링크로 접합될 경우
    1. 두 벽에 작용하는 모멘트는 각각의 전단벽의 독립적인 휨강성으로 저항
    2. 휨응력은 선형적으로 각각의 벽에 분배된다.
  2. 벽이 강체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경우
    1. 외부에서 작용하는 모멘트는 두 벽의 합성거동에 의해 저항
    2. 휨에 대한 중립축은 두 벽의 도심축에 위치한다. 따라서 휨응력은 합성거동에 의해 선형적으로 발생된다.
  3. 실제의 경우 - 두 벽이 일정한 휨강성을 가진 보에 의해 연결
    1. 위의 두 경우의 중간 정도의 거동
    2. 접합된 보의 휨강성이 강할수록 두 벽의 합성작용이 강해지기 때문에 하나의 캔틸레버와 같은 거동을 나타낸다.
연결보

두개의 개별적인 벽을 하나의 벽처럼 연결시켜주는 보 연결보의 춤은 보통 순경간의 절반보다 크고 일반 보에 비해 더 깊다. 연결보는 지진력에 저항하기 위해 벽들이 같이 저항하도록 한다. 벽이 얕은 보에 연결되어 있거나 바닥슬래브에 단순히 묶여 있다면 이는 독립적인 벽으로 여겨지며 연결보에 묶여 있는 경우보다 훨씬 더 유연하고 약한 것으로 간주된다. 연결보는 높은 수준의 연성시스템을 부여하기 위해 대각선의 철근으로 구성된다.

정리

Coupled shear wall 구조물의 경우, 연결보에 의해 두 전단벽에는 축력이 발생하여 이러한 축력에 의해 상당량의 전복모멘트를 지지할 수 있다. 연결보의 강성이 클수록 이러한 상호작용에 의한 효율성이 증가될 것이다. 연결보의 강성이 작은 경우, 두 전단벽의 거동은 각각의 캔틸레버 거동을 하게 되어 구조적인 효율성이 감소될 것이다.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