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비선형해석 거동특성 및 모델링
1차부재와 2차부재 거동특성(변형, 힘) 모델링 변수 산정
정답:
철근콘크리트성능기반내진설계지침
1차부재와 2차부재
- 1차부재
- 지진력에 저항하는 부재, 주로 지진력 저항시스템 내의 부재가 여기에 해당한다.
- 2차 부재
- 연직하중을 저항하는 부재. 횡하중에 저항하지 않는다. 다만 횡하중 작용시 과도한 변형에 의해 급속한 붕괴를 방지해야 하므로, 횡하중 작용시의 변형은 설계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 지진력 작용 시 해당 부재의 파괴가 다른 1차부내의 파괴를 가져올 경우, 1차부재로 취급
변형지배거동과 휨지배 거동
- 변형지배거동
- 지진력 저항시 연성거동이 수반되는 부재의 거동. 일반적으로 휨 지배시 연성거동을 하게 되므로, 휨지배 거동의 부재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다만 벽체의 면내 방향 전단력이나 연결보의 전단력의 경우 변형지배거동으로 분류된다.
- 휨지배 거동
- 부재의 내력이 작용하중에 대해 축력 및 전단력에 대해 여유치가 있고, 휨에 대해 한계상태에 있는 경우 휨에 지배되어 거동하게 되므로 이를 휨지배거동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RC 부재는 휨에 대해 연성을 가지도록 설계되므로 휨지배 거동일시 변형지배 거동을 하게 된다.
- 힘지배 거동
- 지진력 저항시 비탄성 변형에 수반되지 않고 최대강도 도달이후 취성파괴되어 저항력을 기대할 수 없는 부재의 거동
거동특성 분류
- 변형 지배 거동 : 지진력 저항시 연성거동이 수반되는 부재의 거동
- 힘 지배 거동 : 지진력 저항시 비탄성 변형이 수반되지 않고 최대강도 도달이후 취성파괴되어 저항력을 기대할 수 없는 부재의 거동
| 변형지배 작용 | 힘지배 작용 | |
|---|---|---|
| 보 | 휨 | 전단력 |
| 기둥 | 휨 | 축력, 전단력 |
| 벽체 | 휨 | 축력, 전단력 |
| 연결보 | 휨, 전단력 | X |
부재의 모델링 변수
- 보의 모델링 변수
- 충분한 전단강도와 적절한 정착 및 이음상세 적용시 → 변형지배 작용
- 충분한 전단강도확보가 어려울 시 → 힘지배 작용
- 기둥의 모델링 변수
- 기둥은 전단보강 상세, 전단력 및 축력비를 고려하여 예상되는 거동에 따라 변형지배와 힘지배로 분류
- 벽체의 모델링 변수
- 대체로 변형지배거동이나 전단변형을 고려하여야 하는 경우 전단탄성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 단, 벽체의 면내방향 전단력은 변형지배 거동이다. (기존 시설물 내진성능평가 요령(p.45) 및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 메뉴얼 p.62)
- 연결보의 모델링 변수
- 일반적으로 연성거동에 유리한 휨지배 모델을 사용하며 비선형 해석결과에 따라서 요구되는 전단강도 및 내진상세 요구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철근콘크리트성능기반내진설계지침.pdf p.22
-첨부파일-🗑️/스크린샷-2024-03-26-오전-10.52.59.png)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