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풍하중에 의한 진동현상
정답:
풍하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진동현상
- 건축구조물에서 고려하는 바람에 의한 하중
- 바람은 구조물에 3축방향으로 모두 영향을 준다. 그러나 건축물의 경우에는 바람이 부는 방향과 그 직각방향의 힘이 지배적이므로 주로 2축 방향의 힘을 고려하게 된다.
-첨부파일-🗑️/IMG_0767.jpeg)
- 바람은 구조물에 3축방향으로 모두 영향을 준다. 그러나 건축물의 경우에는 바람이 부는 방향과 그 직각방향의 힘이 지배적이므로 주로 2축 방향의 힘을 고려하게 된다.
- 풍하중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진동현상
- 풍방향 진동
- 낮은 풍속(22.3~26.8m/s)에서는 건물 측면에 동시에 와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건물이 횡방향으로 진동할 우려는 없다. 따라서 낮은 풍속에서는 풍방향 진동의 영향을 받는다.
- 풍직각방향 진동
- 높은 풍속에서 와류는 처음에 한쪽 면에서 발생하고 교대로 다른 쪽 면에서 발생한다. 이런 현상이 일어날 때 구조물은 풍방향뿐 아니라 풍직각방향으로 진동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Vortex sheadding 또는 Karman vortex street 이라 한다.

- 높은 풍속에서 와류는 처음에 한쪽 면에서 발생하고 교대로 다른 쪽 면에서 발생한다. 이런 현상이 일어날 때 구조물은 풍방향뿐 아니라 풍직각방향으로 진동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Vortex sheadding 또는 Karman vortex street 이라 한다.
- 비틀림방향 진동(수직축)
- 종횡비가 증가하는 경우 상층에서는 평균풍속이 크고 난류의 강도가 적은 기류가 건물에 부딪히고, 하층에서는 평균풍속이 적고 난류가 큰 기류가 부딪혀서 기류의 3차원성이 증가하게 된다. 즉, 고층건물의 경우 종횡비(높이/유효폭)가 클수록 후류의 와발생에 의해 변동풍속이 커지기 때문에 비틀림 성분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비틀림 방향 진동이 지배적이게 된다.
- 풍방향 진동
와류진동
바람의 동적 특성이로 인해 바람이 작용하는 구조체에는 풍방향 진동을 비롯하여 풍직각방향진동, 비틀림진동이 발생한다. 풍직각방향 진동과 비틀림진동은 주로 와류진동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와류는 구조체에 바람이 작용했을 때 공기의 흐름이 갈라지면서 구조물의 뒷면에 주기적으로 생성하고 소멸하는 회오리바람을 뜻하고 와류진동은 와류로 인하여 구조물에 발생하는 진동을 의미한다.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