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프리스트레스 부재의 응력이완현상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정답:
프리스트레스 구조의 응력이완 현상
응력이완현상
- 강재에 인장응력을 주어 그 변형을 일정하게 유지해서 장시간 방치할 경우에 응력이 감소하는 현상.
- PC강선, PC강재, 꼬임선, PC강봉 등을 소정의 하중으로 잡아당겨 일정 변형상태를 유지할 때,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하중이 저하하는 현상을 말한다
- 응력이완은 PSC부재에 균열, 변형, 처짐등을 발생시켜 내구성을 저하시킨다.
단기손실
| 프리스트레스 손실원인 | 프리텐션 | 포스트텐션 |
|---|---|---|
| 탄성수축 | 긴장력 도입시 | 강선을 순차적으로 긴장시 |
| 정착장치활동 | 긴장력 도입전 | 긴장력 도입시 |
| 마찰 | X | 긴장시 |
- 탄성수축으로 인한 손실
- 프리스트레스력이 강선에 가해지면 부착된 콘크리트에 탄성수축이 발생하며 이로 인한 손실. 프리텐션, 포스트텐션 모두 발생
- 정착장치활동으로 인한 손실
- 긴장력이 도입될 때 긴장재의 인장력이 정착장치에 의해 콘크리트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 프리텐션, 포스트텐션 모두 발생하나 프리텐션시 추가긴장을 통해 보정가능
- 긴장재와 덕트의 마찰로 인한 손실
- 덕트가 완벽하게 직선으로 배치되지 못하였거나 혹은 설계에서 주어진 곡률에 의해 강연선과 덕트의 바찰이 발생하여 생기는 손실. 포스트텐션시만 발생
장기손실
| 프리스트레스 손실원인 | 프리텐션 | 포스트텐션 |
|---|---|---|
| 릴렉세이션 | 긴장력도입전과 후 | 긴장력 도입후 |
| 건조수축 | 긴장력 도입후 | 긴장력 도입후 |
| 크리프 | 긴장력 도입후 | 긴장력 도입후 |
- 강재의 릴렉세이션에 의한 손실
- 긴장재가 계속적인 변형률을 유지하게 되면 긴장재의 응력이 점진적으로 줄어들게 되며 이로인한 손실
- 영향인자 : 초기긴장력의 크기, 시간경과, 강종, 강도 등 초기 긴장력이 60%정도면 그 후 감소효과가 거의 없다. 초기 긴장력이 90%정도면 80% 감소
-첨부파일-🗑️/Pasted-image-20230622203701.png)
- 건조수축에 의한 손실
- 콘크리트에서 수화작용에 사용되지 않은 여분의 수분을 대기중에 방출하여 콘크리트 체적이 감소하는 건조수축에 의한 손실
- 크리프에 의한 손실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