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내진성능평가보고서에서 분석이 필요한 항목을 서술하시오.
보강방법 중 강도 및 강성증가, 연성증가, 하중저감 방법에 대해 서술하시오.
정답:
분석이 필요한 항목
- 기존시설의 보유성능의 재평가 및 분석
- 보유성능이 적설할 시 사업종료
- 보강량의 수준파악
- 목표성능 미달부재의 강도비와 평면입면상 분포분석
- 보강량 파악 및 면적, 국부적인지 파악
- 가능한 보강계획 및 방법고려
- 보유성능이 낮은 경우 : 전단벽 설치 등 집중보강(시스템보강) 고려
- 제한적인 보강만 필요할 경우 : 개별보강 고려
- 경제성, 공사기간의 비교
- 중력하중에 대한 보강
- 해당부재에 보강을 해야하므로 보강위치 조정 어려움
- 중력과 지진 모두 효율적인 보강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
- 내력이 부족하여도 현장조사를 통하여 해당 사용조건을 유지하는 전제로 사용가능
내진성능평가 보강방안 종류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메뉴얼 10.2 ~11
-첨부파일-🗑️/스크린샷-2024-03-05-오후-2.33.41.png)
- 철근콘크리트 채움벽 신설
- 전단벽 증설 및 신설
- 기둥날개벽 설치
- 모멘트골조 설치 후 일체거동
- 철골 끼움골조 삽입하여 보강
- 철골 가새골조 설치
- 철골 끼움가새 설치
- 부축벽 신설
- 강관 채움벽 신설
- 기둥과 내력벽 신설
- 충전벽 증설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추가
강도 및 강성보강
- 강도가 부족한 경우 각 부재를 보강하거나 구조시스템을 신설한다. 강도의 증가는 강성의 증가를 수반하므로 지진하중을 증가시킬수 있으므로 검토가 필요하다.
- 부재신설방법(시스템보강 또는 집중보강)
- 내진벽 보강, 가새골조 보강, 모멘트 저항골조 보강, 버트레스 보강
- 전단벽, 채움벽 가새골조의 설치 : 구조물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내력이 부족한 부재들의 요구하중을 감소시킨다.
- 성능점이 형성되지 않았을 경우 성능점을 형성시키기 용이하다.
- 신설부재는 하중의 전달경로와 분포를 변화시키고, 구조물 전체의 하중증가를 유발하므로 기존부재와 기초의 안전성을 검토해야 한다.
- 일반적으로 기초보강이나 신설이 필수적이므로 시공성을 고려
- 부재설치를 위해 개구부를 없애거나 외관을 변경하여야 하므로 건축주 및 건축사와 긴밀한 협의가 요구
- 기존부재 보강방법(개별보강)
- 기둥보강(날개벽, 기둥단면 증가 등), 보보강(강판보강, FRP보강 등)
- 신설공법에 비해 건물외관과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이 작은 반면, 개소수가 많아지면 시공성이 저하되어 경제성이 떨어진다.
- 중력하중에 대한 보강이 요구되는 경우에 효율적
- 기타고려 사항
- 주기 감소 → 응답지진력 증가
- 연성능력 그대로 강도, 강성 증가 → 내진성능향상
- 하중의 전달경로와 분포를 변화, 구조물 하중 증가 → 기존부재의 안전성 검토
- 전단벽, 가새, 부착벽 설치시 기초보강 요구, 인장력이 발생하지 않는 보강채택
- 끼움골조로 보강시 해석과 강도평가 시의 힘의 흐름의 적정성을 면밀히 검토한다.
연성보강
- 구속보강(기둥보강, 보보강), 부분강성감소 보강, 탄소섬유보강, 강판보강
- 연성(변형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요구하중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 보강에 따른 일부 강도 증가가 기대된다.
- 구조물의 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해당되는 모든 구조부재의 연성보강이 필요하다 따라서 비내진구조의 보강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으며 내진구조에서 국부적으로 연성능력이 부족한 경우에 사용
- 보강재료에 따라 강도증가와 연성증가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나 보강부재에 연성증가 효과가 국한되므로 전체시스템의 연성능력 향상에는 한계가 있다.
- 보강개소의 증가에 따라 공기증가 및 건축마감 등 복구비용이 증가한다.
내진요구저감방안
- 감쇠장치, 면진장치, 자중감소
- 면진장치 적용 시 구조적 특징
- 면진층 변위집중
- 건축물 장주기화
- 면진층의 면진장치에 의한 연성능력 크게 증가
- 면진층 감쇠에 따른 요구스펙트럼 축소
- 시공시 가설계획과 면진층 거동에 따른 건축상세 및 설비에 대한 설계비용 증대
- 감쇠장치 보강 - 감쇠장치에 의한 소성변형 구현
- 주로 브레이스, 강판벽 등과 조합 설치
- 감쇠장치의 감쇠증가로 요구스펙트럼 축소 - 성능점 형성
- 응답지진력의 크기는 크게 증가하지 않음.
- 학교는 채움벽과 허리벽으로 변형능력이 작으므로 감쇠장치의 역할 기대가 어려움
-첨부파일-🗑️/스크린샷-2024-03-12-오전-10.58.19.png)
기존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보강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 메뉴얼 제12장
기둥 보강(12.2.1)
주철근와 폐쇄형 후프를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증타설한다.
기둥의 휨모멘트, 전단력 및 축방향 강도와 연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사용
추가되는 수직철근은 단면의 코너에 배치하여 상하층과 기초까지 연속이 되도록 설계 시공한다. 이 때 폐쇄형 후프는 90도 135도 후크를 갖는 횡보강근 2개로 이뤄진 폐쇄형 후프 사용 가능
-첨부파일-🗑️/스크린샷-2024-03-20-오후-12.59.08.png)
기둥 날개벽
기둥의 좌우에 일정한 크기의 날개벽을 설치하여 내진성능을 향상시킨다.
수직철근이 상하층에 연속되어 배치할 수 있도록 날개벽의 위치를 정해야한다.
관통하지 않는 경우 압축력만 받는 날개벽으로 설계. 한쪽의 날개벽만 유요한 것으로 고려. 전단에 대해서는 양쪽 날개벽 고려
-첨부파일-🗑️/스크린샷-2024-03-20-오후-1.02.43.png)
기둥 철판보강
기둥 단면에 철판을 감은 후 기둥과 철판 사이에 모르타르 또는 에폭시로 충전하여 기둥의 전단강도와 연성의 향상 목적으로 사용
-첨부파일-🗑️/스크린샷-2024-03-20-오후-1.03.36.png)
기둥 띠철판 감기
기존 기둥에 띠철판을 감아 연성 향상
-첨부파일-🗑️/스크린샷-2024-03-20-오후-1.04.12.png)
기둥 탄소섬유보강
기둥 둘레에 탄소섬유를 붙여 기둥의 압축강도 및 연성 향상
-첨부파일-🗑️/스크린샷-2024-03-20-오후-1.04.44.png)
보의 보강 12.2.2
보의 강판보강
보의 하단에 강판을 붙여 휨강도 향상, 측면에 붙여 전단강도 향상
-첨부파일-🗑️/스크린샷-2024-03-20-오후-1.05.41.png)
보의 탄소섬유보강
보의 하부에 탄소섬유를 붙여 보의 휨강도를 향상, 측면에 붙여 전단강도 향상
-첨부파일-🗑️/스크린샷-2024-03-20-오후-1.06.14.png)
벽체 보강 12.2.3
벽체의 콘크리트 단면증설
벽체의 단면적을 증대시켜, 휨 및 전단강도를 향상
추가 수직철근은 상하층에 연속되도록 시공
기둥과 연결되는 경우에는 수평철근을 기둥에 정착
-첨부파일-🗑️/스크린샷-2024-03-20-오후-1.07.37.png)
벽체의 탄소섬유보강
벽의 한쪽 또는 양쪽에 탄소섬유를 붙여 면내 전단력을 향상 벽체 면에 수평방향으로 탄소섬유를 붙여 벽체 전단성능을 증가시킴으로써 주철근 항복 이후의 연성거동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개구부 상부의 인방 또는 연결보의 경우 주로 부재길이 수직방향으로 탄소섬유를 붙여 보강한다.
다이아프램 슬래브 보강 12.2.4
슬래브 두께 증가
두께를 증가시켜 휨 및 전단강도를 증대시켜 다이아프램 작용을 확보할 수 있다.
슬래브 표면을 거칠게 처리하거나 다월 철근을 추가하여 기존 슬래브 및 수직재와 보강재 간 일체성 확보 필요-첨부파일-🗑️/스크린샷-2024-03-20-오후-1.10.06.png)
슬래브 접합부 보강
슬래브와 수직재 사이 접합부에 철물 삽입, 콘크리트 추가 타설로 접합부의 휨 및 전단성능, 연성능력 등을 향상
익스펜션 조인트의 슬래브 보강
익스펜션 조인트로 분리된 두 구조체의 일체형 거동이 필요한 경우, 양쪽 슬래브를 연결한다. 슬래브의 철근이 연속되도록 충분한 이음길이를 사용하여야 하며, 연결 부위에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연결한다.
시공시 주요 고려사항 12.2.5
- 신구콘크리트의 접합을 위하여 기존 기둥이나 보의 피복콘크리트를 제거한 후, 적절한 강도의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일체성을 확보한다.
- 기존 콘크리트 일부 제거 또는 파취 시에 존치하고자 하는 콘크리트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 기존 철근콘크리트 부재 단면에 철근, 강판, 섬유보강제, 콘크리트 등을 사용하여 단면증가를 위해 덧댐으로 보강하는 방법에서는 모재 표면을 거칠게 처리하거나 필요시 전단연결재를 적용하는 등 계면의 부착강도를 확보하여야 한다.
**
-첨부파일-🗑️/Untitled_20240326_231416_3.jpg)
END
-첨부파일-🗑️/IMG_0827.jpeg)
-첨부파일-🗑️/IMG_0828-1.jpeg)
-첨부파일-🗑️/IMG_0829.jpe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