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서브노트 문제:

현장타설콘크리트 말뚝의 구조세칙 및 공법

  1.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의 구조세칙
  2. PRD, RCD 공법

정답: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의 구조세칙
  1.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의 시공에 있어서 공벽의 붕괴, 보링 및 굴착기기를 뺄 때 흡인현상 등에 따라 지지층이 교란되지 않도록 충분한 고려를 하여야 한다. 또한 공저의 슬라임에 대한 제거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2.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의 단면적은 전 길이에 걸쳐 각 부분의 설계단면적 이하이어서는 안된다.
  3.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의 선단부는 지지층에 확실히 도달시켜야 한다,
  4.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주근은 4개 이상 또한 설계단면적의 0.25% 이상으로 하고 띠철근 또는 나선철근으로 보강하여야 한다. 이 경우 철근의 피복두께는 60mm 이상으로 한다. 철근의 피복두께는 케이싱이 있는 경우 60mm 이상이며, 케이싱이 없이 타설할 경우 80mm 이상으로 하며 특히 수중타설인 경우는 100mm 이상으로 한다.
  5. 저부의 단면을 확대한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의 측면경사가 수직면과 이루는 각은 30º 이하로 하고 전단력에 대해 검토하여야 한다.
  6.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을 배치할 때 그 중심간격은 말뚝머리 지름의 2.0배 이상 또한 말뚝머리 지름에 1,000mm를 더한 값 이상으로 한다.
  7. 케이싱이 없는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의 설계균열모멘트() 는 다음 식에 따라 구할 수 있다. : 철근 및 케이싱을 무시한 단면계수()
PRD 공법 (타격진동 드릴)

저압의 Air를 사용하여 주위 구조물의 피해를 없애고 Pile driver 에 장착된 HammerBit를 압축공기에 의해 타격하면서 회전시켜 굴착, 압축공기로 굴착토 배출

RCD 공법(역순환드릴)

물이나 안정액으로 정수압을 유지하여 붕괴를 방지하며 회전 비트로 굴착, 파낸 흙과 물을 배출하며 말뚝을 형성

END